청양·부여 주민과 전문가 16명 참여…‘정책 투명성·수용성 제고’ 기대“지역경제·생활여건 개선 기회”…김태흠 지사 “주민 수용 위한 대책” 강조김 지사 “반대 주민 참석 논의하면 오해가 풀릴 텐데 불참 유감”위원장에 박철곤 한양대 교수 선출…“지역경제 활성화·정주 여건 개선 기회”
-
- ▲ 충남도는 27일 도청에서 ‘지천댐 지역협의체’ 첫 회의를 열고, 본격적인 활동에 들어갔다. 이날 회의에는 김태흠 충남지사를 비롯해 협의체 위원과 관계 공무원 등 30여 명이 참석했다.ⓒ충남도
충남 청양·부여 지역에 건립이 추진되는 지천댐을 둘러싼 갈등 해소와 지속 가능한 정책 수립을 위해 주민과 전문가가 직접 참여하는 ‘지천댐 지역협의체’가 공식 출범했다.충남도가 댐 정책 결정의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주민 중심 소통’을 선언한 것이다.충남도는 27일 도청 상황실에서 ‘지천댐 지역협의체’ 첫 회의를 열고, 본격적인 활동에 들어갔다. 이날 회의에는 김태흠 충남지사를 비롯해 협의체 위원과 관계 공무원 등 30여 명이 참석했다.이 협의체는 지난 12일 국가수자원관리위원회가 심의·의결한 ‘제1차 하천유역수자원관리계획’에 지천댐(청양·부여)이 기후대응댐 후보지 안으로 반영됨에 따라 구성됐다.위원은 청양 주민 3명, 부여 주민 6명, 전문가 4명, 충남도 물관리정책과장과 청양군 기획감사실장, 부여군 환경과장 등 당연직 3명 등 총 16명으로 꾸려졌다.협의체는 △지천댐 기본구상 추진 여부 결정 △추진 과정에서의 주민 우려 및 요구사항 해소 △환경적·경제적·사회적 영향을 고려한 균형 잡힌 정책 대안 마련 △건설 과정에서의 문제해결을 위한 대안 제시 등 역할을 맡는다.이날 회의에서는 협의체 구성 경과를 보고하고, 위원장을 선출한 뒤 운영규정과 향후 일정을 논의했다. 위원장에는 주민들의 추천에 따라 박철곤 한양대 갈등관리연구소장이 선출됐다. -
- ▲ 김태흠 충남도지사가 27일 도청에서 열린 ‘지천댐 지역협의체’ 첫 회의에 참석해 인사말을 하고 있다.ⓒ충남도
김태흠 지사는 “기존에는 댐을 만들 때 국가 지원금이 300억 원에 불과했으나 댐건설법 시행령이 바뀌며 770억 원으로 늘어났고, 도에서도 1000억 원을 추가 지원할 것”이라며 “청양·부여 지역의 관광 인프라 확충과 농축산 시설 현대화, 주거 환경개선 등 다양한 부분에 도움을 줘 지역경제 활성화와 인구를 유입시키는 기회를 만들겠다”고 밝혔다.이어 “청양과 부여 지역에서 환경부가 매년 시행 중인 상하수도 등의 사업 일정을 앞당겨 추진하는 한편, 우선 지원받을 수 있는 부분이 있다면 적극적으로 고려해 달라고 요청했고, 긍정적인 답변을 받았다. 환경부 사업 조기 추진 시 770억 원 이상의 효과를 볼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댐 건설로 수몰되는 지역주민들에 대해서는 “양지바른 곳에 동네를 만들어 뿔뿔이 흩어지지 않도록 하고, 농업인들은 가까운 곳에서 농사를 계속 지을 수 있도록 하겠다”고 약속했다.김 지사는 “반대하는 분들이 참석해 논의하면 오해가 풀릴 수 있는 부분이 있을 텐데 불참해 유감”이라며 “추후 도와 양 군 실무자들이 반대 측을 직접 찾아 댐 건설 추진 관련 정보와 협의체 논의 내용을 전달하고, 협의체 참여를 설득하겠다”고 말했다.한편 지천댐은 청양군 장평면과 부여군 은산면 일원에 총저수용량 5900만㎥ 규모로 건립할 계획이다. 이는 대청댐(14억9000만㎥)의 4%, 보령댐(1억1700만㎥)의 50% 수준으로, 본격 가동 시 하루 38만 명이 사용할 수 있는 11만㎥의 용수를 공급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