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바이오헬스 지역센터 선정, 충북 바이오산업 도약 발판 마련”“창업부터 글로벌 진출까지… 전주기 통합지원체계 구축”“충북바이오산업협의체 출범, 실질적 오픈이노베이션 본격화”
-
- ▲ 이장희 충북바이오산학융합원장.ⓒ이길표 기자
이장희 충북바이오산학융합원장은 산·학·연·병 협력을 기반으로 바이오산업 전주기 지원체계를 구축해 창업과 인재양성, 기업 성장을 이끌고 있다.이 원장은 지난 4월 ‘K-바이오헬스 지역센터’ 유치 등 가시적인 성과를 거두며 충북 바이오산업의 핵심 허브로 도약을 준비 중이다.충북은 제약, 백신, 의료기기 등 바이오특화 경쟁력을 갖춘 지역으로, 산학연 협력과 인재확보가 지속 가능한 성장의 열쇠로 꼽힌다.이 원장은 “충북바이오산학융합원을 혁신의 거점으로 성장시키겠다”며 글로벌 진출 및 네트워크 기반 확장을 강조했다. 앞으로 충북바이오산업협의체를 중심으로 산업 생태계의 전략적 연대를 강화할 계획이다.다음은 이장희 충북바이오산학융합원과 일문일답이다.-이 원장님, 충북바이오산학융합원의 주요 역할은 무엇입니까.“충북바이오산학융합원은 산·학·연·병 협력을 기반으로 바이오 창업지원, R&D, 인력양성, 기술사업화 등 바이오산업 전주기 지원체계를 구축한 기관입니다. 바이오헬스 생태계 조성과 기업 성장을 유도하는 혁신 허브로 기능하고자 합니다.” -
- ▲ 이장희 원장이 충북 오송 K-바이오헬스지역센터 개소식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이길표 기자
-취임 이후 가장 큰 성과와 현재 중점적으로 추진 중인 과제는 무엇인가요.“보건복지부의 ‘K-바이오헬스 지역센터’ 사업 주관기관으로 선정된 것이 큰 성과입니다. 의료 빅데이터, 분석 등 창업기업 기술 상용화를 돕고, ‘바이오헬스 아카데미’를 통해 전문인력 양성도 본격화하고 있습니다.”-융합원의 조직적 특징과 생태계 내 역할은 어떻게 구성돼 있나요.“대학, 기업, 연구기관이 오송 바이오캠퍼스와 기업연구관에 집결해 협력하고 있습니다. 50여 기업과 연구기관이 입주해 창업, R&D, 사업화, 교육까지 밀접한 산학연 협력체계를 실현하고 있습니다.”-현재 충북 바이오산업의 강점은 무엇입니까.“오송을 중심으로 제약, 백신, 의료기기 분야에서 뛰어난 경쟁력을 보유하고 있으며, 국책기관들이 밀집해 있어 인프라와 전문성을 겸비한 국내 최고 수준의 바이오 클러스터로 성장하고 있습니다.”-충북이 ‘K-바이오 중심지’로 도약하기 위한 시급한 과제는 무엇이라고 보십니까.“2조 4천억 원이 투입되는 ‘K-바이오 스퀘어’ 사업을 성공적으로 추진해야 합니다. 인재양성, 연구기관 유치, 산학연병 네트워크 강화가 반드시 병행되어야 합니다.” -
- ▲ 이장희 충북바이오산학융합원장이 최근 충북바이오산업협의체 출범식에서 김영환 충북도지사와 오석송 초대 회장 등과 함께 충북바이오 발전을 위한 퍼포먼스를 하고 있다.ⓒ충북바이오산학융합원
-산학연 협력 강화를 위해 추진 중인 사업은 무엇인가요.“프로젝트 LAB, 산학융합R&D, 시제품 제작, 공용장비 지원 등 다양한 협력사업을 운영 중이며, 기업과 대학의 연계강화를 위해 인프라와 네트워크 기반을 확장하고 있습니다.”-바이오산업의 지속 가능한 성장을 위한 인재 전략은 어떻게 구성돼 있나요.“청년 핵심인재 양성, 일학습병행, 재직자 역량강화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통해 미스매칭을 줄이고 실무형 인재를 양성하고 있습니다. 올가을부터는 ‘바이오헬스 아카데미’ 국책사업도 본격 시행됩니다.”-충북바이오산업협의체가 최근 출범했는데요, 어떤 역할을 하게 됩니까.“도내 바이오 관련 120여 개 기관이 참여해 협업 기반을 마련한 협의체로, GC녹십자, 셀트리온제약,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충북대병원 등과 함께 실질적인 오픈이노베이션을 추진하게 됩니다.”-바이오 스타트업과 중소기업이 자주 겪는 애로사항은 무엇이고, 어떤 지원을 하고 있나요.“전주기 창업지원이 부족하다는 점입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충북바이오션’ 플랫폼을 통해 창업 교육, 전문가 멘토링, 홍보, 채용 등을 원스톱으로 지원하고 있습니다.” -
- ▲ 이장희 충북바이오산학융합원장이 입주 기업을 손으로 가르키며 성공의 기원하고 있다.ⓒ이길표 기자
-충북바이오산학융합원의 중장기 비전은 무엇입니까.“충북 바이오 클러스터를 글로벌 혁신 허브로 성장시키는 것입니다. 디지털 헬스, 정밀의료, AI 기반 바이오 기술 등 미래 트렌드에 대응하는 연구·산업 지원체계를 강화하겠습니다.”-임기 중 꼭 이루고 싶은 목표가 있다면 말씀해 주세요.“‘충북바이오산업협의체’ 중심으로 협업 네트워크를 공고히 하고, ‘충북바이오인의 밤’, ‘C-바이오 글로벌 CEO 아카데미’ 등을 통해 인재와 리더를 양성해 바이오산업에 지속 가능한 기반을 마련하고 싶습니다.”-마지막으로 도민과 관계자들에게 전하고 싶은 메시지가 있다면요.“충북은 대한민국 바이오산업의 중심입니다. 도민과 함께 더 나은 건강한 미래를 만들기 위해 인재양성과 기술개발에 더욱 매진하겠습니다. 많은 관심과 응원 부탁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