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민 위한 연구, 충북의 미래 설계”…변화 대응 위한 혁신 전략 제시
-
- ▲ 충북도청사.ⓒ뉴데일리
충북도의 대표 정책연구기관인 충북연구원이 22일 새로운 도약을 예고했다고 밝혔다.지난 1일 제16대 김영배 원장이 공식 취임하면서 충북연구원은 변화하는 시대 환경에 대응하는 혁신적 정책 플랫폼으로의 전환을 선언했다.김 원장은 이날 충북도지사로부터 임명장을 수여받고 본격적인 업무를 시작했다. 그는 취임사를 통해 “충북연구원이 도민의 삶을 향상시키고, 지속 가능한 발전의 기반이 될 수 있도록 명확한 비전과 공감받는 경영철학으로 정책 지원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1990년 전국 최초로 설립된 지방정책연구기관인 충북연구원은 지난 35년간 지역 발전의 싱크탱크 역할을 수행해왔다. 특히 충북의 상대적 낙후성을 극복하고 ‘4% 경제’ 달성에 기여하며 ‘대한민국의 중심, 충북’ 구현에 중추적 역할을 해왔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그러나 최근 급변하는 국제 정세와 국가 정책의 전환, 인공지능(AI) 등 과학기술의 발전, 탄소중립과 기후변화 대응 등 다양한 과제가 충북을 둘러싼 환경을 빠르게 변화시키고 있다.이에 따라 충북도는 인구 감소 대응, 중부내륙특별법 추진과 충청광역연합 출범, 청주공항 민간 전용 활주로 건설, 서비스업 활성화 및 중소기업 경쟁력 강화, 레이크파크 르네상스 사업 등 주요 현안을 적극 추진하며 ‘충청 메가시티’ 구축에 속도를 내고 있다.김영배 원장은 이러한 변화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3대 경영방침’과 ‘3대 혁신 전략’을 제시했다.3대 경영방침은 △도민의, 도민에 의한, 도민을 위한 헌신적 사명감 △공공 연구기관으로서의 분별력 있는 정치적 중립성 △창의적이고 혁신적인 연구를 위한 통섭과 협력이다.3대 혁신 전략은 △연구기반 혁신 △연구과정 혁신 △성과확산 혁신이다.김 원장은 내부적으로는 연구원의 모든 구성원이 창의성과 전문성을 발휘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고, 외부적으로는 충북도와 시군, 도의회, 학계, 시민사회와의 긴밀한 협력을 통해 신뢰받는 정책 플랫폼으로 거듭나겠다는 의지를 전했다.충북연구원은 앞으로도 시대 변화에 유연하게 대응하며 충북의 지속 가능한 발전과 도민 삶의 질 향상을 위한 핵심 연구기관으로서의 위상을 더욱 강화해 나갈 방침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