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세종청사 시대 개막, 인구 30만 돌파국회세종의사당·대통령 제2집무실 조성 추진
-
- ▲ 행복도시 항공 사진.ⓒ행복청
인구 감소와 지방 소멸 위기가 현실화되는 가운데, 주요 도시들이 신성장 동력 확보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청년 인구 유입을 위한 유망산업 유치와 정주환경 개선이 경쟁적으로 이뤄지는 추세다.이런 흐름 속에서 세종시 내 행복도시는 균형발전을 목표로 2007년부터 조성 중이다.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행복청)은 2030년까지 도시 완성을 앞두고 산업·연구·교육 등 자족 기능을 강화하고 생활 인프라 고도화에 집중하고 있다.◇ 실질적 행정수도 기반 마련행복도시는 2012년 국무총리실을 시작으로 44개 중앙행정기관과 15개 공공기관이 이전하면서 본격적인 정부세종청사 시대를 열었다.인구도 2023년 30만 명을 돌파하며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2021년부터 도시 완성 단계에 접어든 행복도시는 지난해 12월 ‘행복도시건설 기본계획’을 재검토해 기존 ‘복합형 행정·자족도시’에서 ‘실질적 행정수도’로 기본방향을 변경했다.이에 따라 국회세종의사당과 대통령 제2집무실이 들어설 세종동(S-1생활권)을 ‘열린공간’으로 설정, 마스터플랜 수립을 추진 중이다.◇ 산·학·연 융합 통한 혁신성장행복청은 도시 자족성 확보를 위해 집현동(4-2생활권)에 첨단산업단지 ‘세종테크밸리’와 대학·연구기관이 융합된 ‘공동캠퍼스’를 조성했다.현재 네이버 데이터센터, 마크로젠 등 400여 개 기업이 입주했으며, 지난해 9월 국내 최초 공동캠퍼스가 개교했다.국가중추시설 배후 생활권으로 누리동(6-1생활권) 개발이 추진 중이다. 이곳은 미디어·컨벤션·공공업무·문화·상업 기능을 담당하게 된다.◇ 일자리·주거 확충으로 도시 업그레이드행복도시는 실질적 행정수도로 위상이 강화되면서 공공기관 이전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이에 나성동(2-4생활권) 일부를 공공기관 용지로 전환해 추가 수요에 대응할 계획이다.청년층과 1~2인 가구를 위한 맞춤형 주거공간도 확대된다. 대평동(3-1생활권)에는 편의시설을 갖춘 도심형 주택이 조성돼 주거 안정과 생활 편의성을 높일 전망이다.김형렬 청장은 "행복도시는 대한민국 균형발전의 상징이자 미래 성장 거점이 될 것"이라며 "도시 완성도를 높여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변화를 만들어가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