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R 센서로 LOHC 반응 실시간 분석…산업현장 적용 기대전처리 없는 연속 데이터 확보…공정 관리·품질 제어 효율 향상
  • ▲ 한국전력이 액상유기수소운반체(LOHC)의 수소화·탈수소화 반응을 실시간 진단할 수 있는 고감도 기술을 개발했다.ⓒ한국전력
    ▲ 한국전력이 액상유기수소운반체(LOHC)의 수소화·탈수소화 반응을 실시간 진단할 수 있는 고감도 기술을 개발했다.ⓒ한국전력
    한국전력이 액상유기수소운반체(LOHC)의 수소화·탈수소화 반응을 실시간 진단할 수 있는 고감도 기술을 개발했다.

    특히 수소 기반 산업의 공정 관리와 품질 제어에 새로운 가능성을 연 기술이다.

    4일 한전에 따르면 이번 기술은 DVD-R 디스크에서 추출한 나노 구조와 표면 플라즈몬 공명(SPR) 센서를 결합해 수소 저장량 변화를 연속적으로 분석할 수 있다.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 International Journal of Hydrogen Energy에 게재됐으며 특허도 출원됐다.

    기존 LOHC 시스템은 고가의 분석 장비와 긴 분석 시간이 걸려 실시간 진단에 한계가 있었지만, 한전 기술은 전처리 없이 연속형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확보할 수 있어 진단 효율이 크게 향상됐다.

    연구진은 “고온 반응기에서의 안정성 확보 시 대규모 LOHC 시스템에도 적용 가능하다”며 “산업현장 실시간 공정 모니터링에 기여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한전은 이번 성과를 바탕으로 연속식 시스템 적용 및 장기 신뢰성 평가 등 실용화 연구를 이어갈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