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지부 회신 따라 진행…상담 지속 확대 예정”“31명 발굴, 9명 참여…신뢰 기반 상담체계 강화”
-
- ▲ 동구청이 수행기관으로 내부 선정한 참사랑 자기 다음 통합센터.ⓒ참사랑 자기 다음 통합센터
최근 본보가 보도한 대전시 ‘청년 고독사 고위험군 지원사업’ 특정 기관 수의계약 논란과 관련해, 대전 동구가 “신속 대응을 위한 협약 방식이었다”며 견해를 밝혔다.앞서 대전시와 동구·중구·서구·유성구·대덕구는 보건복지부 공모사업에 따라 자치구별 4천만 원을 확보하고, 공모 없이 수행기관을 수의계약으로 선정해 형평성·투명성 논란이 제기된 바 있다.수의계약 한도인 2천만 원을 초과한 점도 논란이 됐다.이와 관련 동구는 “공모 시 착수 지연이 불가피해, 복지부에 협의를 요청했고 ‘운영 지침상 협약 가능’ 회신을 받아 추진한 것”이라며 “관련 경험과 청년 접근성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참사랑 자기 다음 통합센터’를 수행기관으로 내부 선정했다”고 말했다.총사업비 4천만 원은 인건비(60%), 프로그램비(30%), 홍보비(10%)로 구성됐으며, 4월과 5월에 각각 지급됐다.사업을 통해 현재까지 고위험군 31명이 발굴됐고, 이 중 9명이 상담 프로그램에 참여 중이다. QR 자가 진단 참여자 9명 중 4명이 실제 상담으로 연계됐다.동구는 “대면 상담 유도가 쉽지 않다”며 “전담 사례 관리사를 통한 신뢰 기반 상담체계를 강화해 나가겠다”고 전했다.한편, 지역 상담업계는 “공모 자체가 없었다”며 “민간 기관들이 철저히 배제 됐다”고 비판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