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대-공주대(통합), 한남대, 한밭대 예비 지정…대전시 전략 지원 주효8월 실행계획서 제출…지자체·산업체 협업 통해 본지정 도전
-
- ▲ ⓒ대전시
충남대학교-공주대학교(통합형), 한남대학교, 한밭대학교 등 대전 지역 3개 대학이 27일 교육부의 ‘2025년 글로컬대학 30’ 예비지정 대학에 최종 선정됐다.27일 대전시에 따르면 이번 예비지정은 총 6건(8개 대학)을 신청한 대전시가 3건(3개 대학)의 지정을 끌어낸 성과로, 지역 대학 경쟁력 강화와 산업 연계 혁신 기반 마련의 의미 있는 첫걸음으로 평가된다.예비지정 대학들은 지역특화 전략과 대학 고유의 역량을 기반으로 한 차별화된 혁신모델을 제시했다.충남대-공주대는 ‘충청 지산학연 협력 플랫폼’을 통해 대전·세종·충남 최초의 초광역 통합 국립대학 모델을 구현한다는 비전을 제시했다. 양 대학은 상호 간 벽을 허물고, 교육·연구·산업의 경계를 허무는 대대적인 구조 개편에 나설 계획이다.한남대는 창업교육 역량과 지역 전략을 접목해 ‘K-스타트업 밸리 대학’을 비전으로 내세웠다. 이를 통해 대전 창업타운을 ‘한남스타트업밸리’로 육성, 청년창업 중심의 지역 성장 엔진으로 삼겠다는 전략이다.한밭대는 인공지능 기반 유지보수 정비(AX-MRO) 및 국방반도체 분야를 중심으로 지역산업의 대전환을 선도할 인재양성 허브로 도약한다는 계획이다.대전시는 지난 2월부터 대학별 전담 TF를 구성해 지원 체계를 마련하고, 맞춤형 전략회의와 컨설팅을 지속해서 운영해 왔다. 4월에는 현덕 교육정책전략 국장이 각 대학 관계자를 만나 준비 상황을 점검하고, 대학 요청사항을 적극 반영하는 등 밀착 행정을 펼쳤다.예비지정 평가의 대면심사에는 양 부시장과 교육정책전략국장이 각각 2개 대학의 심사에 직접 참석해 대전시 차원의 강력한 지원 의지와 대학과의 동행을 강조했다.이번에 선정된 예비지정 대학들은 오는 8월까지 지자체, 산업체 등과 협업하여 실행계획서를 제출해야 하며, 이를 토대로 본 지정 심사를 받게 된다.고현덕 대전시 교육정책전략국장은 “대학의 경쟁력은 곧 지역의 미래를 좌우한다”며 “대전시가 지역대학의 성장 플랫폼이 될 수 있도록 본 지정까지 모든 역량을 동원해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