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차 산업혁명 특별시 대전 토론회’…“수도권과 협조적 공생관계 인식전환 필요”
  • ▲ 대전지역 산업별 고용창출 분포(2006~2015).ⓒ한국개발연구원
    ▲ 대전지역 산업별 고용창출 분포(2006~2015).ⓒ한국개발연구원

    4차 산업혁명과 대전 혁신클러스터의 조성을 통한 대전 경제의 역동성이 강조됐다.

    대전시가 16일 4차 산업혁명 특별시로서 지역을 넘어 국가 차원의 대한민국 성장동력 핵심거점 지역으로 위상을 높이기 위해 ‘4차 산업혁명 특별시 대전, 비전 보고 및 토론회’를 가졌다.

    이날 토론회에서 김주훈 KDI 수석 이코노미스트 경제정보센터 소장은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맞아 대전에서 중소기업을 중심으로 상생할 수 있는 경제네트워크를 새로 구축해야 한다는 내용을 중심으로 주제발표를 가졌다.

    김 소장은 “신사고가 필요한 전문과학기술업에서도 안정적 사업기반이 창업의 주된 요소”라면서 그러나 “대전을 비롯, 전국적으로 청년창업의 열기에도 불구하고 실제로는 중장년층이 창업을 주도하고 있다”며 청년창업의 문제점으로 제시했다.

    특히 김 소장은 “높은 창업에도 불구하고 고용 등 산업성장으로의 확산은 아직 미흡한 실정”이라며 “대전지역에 유리한 전문과학기술업의 성장이 두드러지게 높지 못한 점”을 지적했다.

    그러면서 김 소장은 “대전이 KAIST, 이공계 정부출연연구소 등이 집적된 매우 유리한 환경을 가지고 있다”고 소개하고 “그러나 이들의 연구성과는 직접적 상업화가 어려운 기초 및 원천기술에 만 머물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그러한 문제점 해결을 위해 단기적으로는 기초 및 원천기술의 상업화가 가능한 대기업 및 벤처가 밀집한 수도권과 협업관계를 조성함과 동시에 대전지역의 창업 활성화를 적극 추진할 것과 수도권과 제로섬의 경쟁관계가 아니라 협조적 공생관계로 인식틀 전환 등의 필요성을 언급했다.

    또한 장기적으로는 창업 및 벤처 활성화로 기초 및 원천기술의 spin-off 집적지화와 대전지역의 연구기관 및 대학들과 산학연계 혁신클러스터의 구축 등 신기술 창업의 잠재력과 지역경제로의 확산 등 단계적 접근 전략을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