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 16일 충북 청주지역에 290.2mm의 폭우가 쏟아졌다. 1995년 이후 22년 만에 하루 최고기록이며 시간당 강우량도 91.8㎜를 기록했다. 말 그대로 물 폭탄이 쏟아진 지역은 초토화 됐다.
21일 기준 충북도재난안전대책본부에 집계된 피해상황을 살펴보면 사망 7명, 이재민 1918명 등의 인명피해가 발생했다.
이어 주택 1375동이 부서지거나 침수됐고 도로 42곳, 상하수도 60곳, 철도 13곳, 하천 146곳 등이 침수됐다.
또한 농작물 3488ha, 공장 29동, 차량 1379대가 침수 피해를 입었고 곳곳에서 산사태가 일어나 통행이 막히기도 했다. 이날까지 접수된 피해액만 423억원이며 복구비용은 1285억원대로 추정됐다.
하지만 지난 16일 이후로 피해상황 집계를 살펴보면 18일까지 피해액이 172억원, 복구비용 311억원에서 매일 두 배씩 피해규모가 늘어나고 있다. 응급복구와 함께 피해조사가 세밀해 진다면 점점 더 확대될 전망이다.
이날까지 시군별 피해상황은 청주시가 223억원으로 가장 많고 괴산군이 82억, 보은군이 43억, 진천군이 35억, 증평군이 23억원 순이며 모두 423억원으로 파악됐다.
이처럼 피해규모가 점점 확산되자 조속한 복구와 피해보상을 위한‘특별재난지역’ 선포를 위한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특별재난지역’ 선정 기준은 현재 관련 규정상 피해액이 청주 90억, 증평 75억원, 보은과 괴산은 60억원 이상이 돼야 만 지정이 가능하다.
현재 피해 상황으로는 청주와 괴산은 가능하지만 증평과 진천, 보은은 피해액이 부족하다. 하지만 이는 행정구역별로 피해액을 산정하는데 문제점이 있다.
피해지역의 강수량을 살펴보면 지난 15, 16일 이틀 동안 청주 302.2mm, 증평 239mm, 괴산 183mm, 진천 177mm, 보은 83mm를 기록했다. 기록에도 나타나듯이 청주를 중심으로 한 금강 수계와 괴산 등 한강 수계에 호우가 집중됐다.
당연히 물줄기를 따라 피해규모가 커졌다. 다만 보은의 경우 속리산을 기점으로 한강의 최상류 지역에 호우가 집중돼 이 물이 괴산댐으로 몰리면서 괴산댐이 한때 정상 5cm 밑까지 물이 차오르며 붕괴위험까지 대두되기도 했다.
이처럼 폭우 피해는 행정구역별 집계보다는 수계에 따른 집계와 대책이 절실히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이를 위해 이시종 충북도지사는 지난 19일 대책회의에서 “피해액 산정을 시군별로 독립적으로 하는 것은 형평에 맞지 않는다”며 “피해권역을 하나로 묶어서 일정 금액 이상이 되면 모두 특별재난지역으로 지정될 수 있도록 정부에 건의하라”고 지시했다.
그러면서 “보은군과 증평군 등은 큰 피해를 입었는데도 특별재난지역 지정 가능 금액이 각각 60억원과 75억원으로 지자체 규모에 비해 지나치게 금액이 높다”며 “단순히 인구수로 만 비교하면 청주시 기준 금액이 90억원이라면 보은군은 3억6000만원 만 넘으면 특별재난지역으로 지정돼야 할 것”이라고 관련 제도 정비의 필요성을 지적했다.
한편 수해 복구를 위한 도움의 손길이 전국에서 이어지고 있다.
현재까지 대한적십자사 봉사회를 비롯한 민간인 7977명, 공무원 2585명, 군인·경찰 1만3163명 등 모두 2만3725명이 복구현장에 나서고 있다. 복구를 위한 장비도 굴삭기 941대, 덤프 315대 등 1535대가 지원됐다.
또한 침수 피해지역의 전염병 예방을 위한 방역차량도 280대 동원됐으며 충북도는 재난안전특별교부세 25억원과 예비비 5억원을 긴급 투입해 응급복구에 심혈을 기울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