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학계 최고 권위지 영국의학회 최신판에 보고
  • ▲ ⓒ충북대
    ▲ ⓒ충북대


    충북대학교 의과대학 교수들이 최근 급증하고 있는 갑상선암과 관련해 그 원인은 ‘의료시스템에 의한 과진단’으로 분석했다.

    충북대 의학과 김소영‧박종혁 교수는 21일 갑상선암의 유행병적인(epidemic) 발병 현상은 ‘의료시스템에서 근본적으로 기인’한 것이란 결과를 의학계의 최고의 권위지 영국의학회(British Medical Journal) 최신판에 보고했다고 밝혔다.

    이들의 연구에 따르면 OECD 주요국의 보건의료제도 설명보고서, 암발생통계 및 건강통계를 활용해 분석한 결과 미국과 이탈리아, 프랑스에서도 우리나라와 비슷하게 갑상선암의 발생이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공공부문의 지출이 상대적으로 적고 자유방임적 보건정책(lassesz-faire health policy)을 취하는 경우 더 높은 갑상선암이 발생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으며 공공부문의 역할이 상대적으로 작으면 환자나 민간부문의 부담이 커지게 되고 이것은 의료시스템의 영리화를 초래하게 된다는 것이 핵심이다.

    이들은 실제로 보건의료에 대한 낮은 공공부담과 지불행위에서 행위별수가제의 높은 의존도는 갑상선암 발생률의 증가와 관련이 있음을 밝혀 낸 것이다.

    이는 공공의료부문의 낮은 지출, 문지기 역할의 부재, 민간 의료기간의 높은 비율 등의 특징을 가진 의료시스템의 부정적인 영향과 낮은 공적 책임감, 행위별수가제를 바탕으로 한 지불행위, 상대적으로 높은 개인의 지불 능력 등이 결합돼 점차적으로 ‘풍선효과(Balloon effect)’가 나타난 것으로 분석했다.

    이들은 “1989년 국민건강보험제도가 도입된 이후 ‘저부담-저수가-저급여’ 혜택의 정책이 지속돼 왔고 정부는 의료제공자와의 연간보험료 협상을 지배해왔다”며 “이런 이유로 우리 몸에서 암세포를 뿌리 뽑아야 한다는 의사들과 환자의 신념, 그리고 의료제공자의 적자를 보존해주기 위한 보상메커니즘이 결합돼 한국의 갑상선암 유행으로 이어졌다”고 밝혔다.

    이어 “또 하나의 원인은 정부와 준정부 기관과 같은 공인된 기관이 갑상선암 스크리닝에 대한 적절한 정보를 알리지 않았다”며 “지난 수십년 동안 현재의 상황에 대해 아무런 정책을 실행하지 않았으며(Do-Nothing policy) 갑상선 스크리닝에 대해 애매모호한 지침을 배포했다”고 전했다.

    이들의 연구는 2014년  ‘갑상선암 과진단 예방을 위한 의사연대’의 활동과 의학저널에서 발표된 몇 가지 증거를 통해 갑상선 수술이 현저히 낮아지고 있고, 국가암검진위원회는 갑상선암 검사가 건강한 사람들에게 관례적으로 권장되지 않는 갑상선암 검진 가이드라인을 개발했다.

    또 추후 환자 및 의료제공자등에게 광범위한 의견을 수렴해 충분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더 많은 노력이 필요하다는 점을 제시했다.

    김소영 교수는 “한국의 갑상선암 유행은 명백한 과진단의 한 예”라며 “이러한 부담은 결국 사회적 부담으로 이어질 것이기 때문에 지금이 공공의 책임을 개편할 시기다. 좋은 의료정책은 의사가 그들이 일상의 업무를 수행할 때 의료시스템이 잘 운영되도록 하는 것”이라고 밝혔다.

    박종혁 교수도 “국내 보건의료 시스템은 짧은 시기에 많은 것을 이뤄 냈고 전 국민건강보험 구축으로 선진국 못지않은 건강지표 등 좋은 결과들이 나오고 있지만, 부작용이 나타나고 있는 것도 사실이다. 바로 갑상선암의 문제”라며 “보건의료시스템의 저부담-저수가-저수가 체계를 개혁하고 보다 국가가 보건의료에 대한 공적책임을 강화(공공지출 증가, 주치의 제도 도입 등)하는 것으로 수정 보완해 가야할 시점”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