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 총괄건축가, 지방정부회의서 네 가지 정책 제안… “작은 건축에서 큰 변화 시작”“기획은 건축의 핵심… 시‧군도 건축부서 권한 강화해야”
  • ▲ 김광현 충남도 총괄건축가(서울대 교수)가 9일 충남도청에서 열린 ‘제8회 충청남도 지방정부회의’에서 김태흠 충남도지사와 15개 시장, 군수에게 도내 공공건축의 방향성과 구조 개편을 제안하며 이같이 말했다.ⓒ이길표 기자
    ▲ 김광현 충남도 총괄건축가(서울대 교수)가 9일 충남도청에서 열린 ‘제8회 충청남도 지방정부회의’에서 김태흠 충남도지사와 15개 시장, 군수에게 도내 공공건축의 방향성과 구조 개편을 제안하며 이같이 말했다.ⓒ이길표 기자
    “공공건축은 주민 삶의 공간입니다. 이제는 ‘아름답고 싸게’가 아닌, ‘함께 살고 싶은 건축’을 지어야 합니다.”

    김광현 충남도 총괄건축가(서울대 교수)가 9일 충남도청에서 열린 ‘제8회 충청남도 지방정부회의’에서 김태흠 충남도지사와 15개 시장, 군수에게 도내 공공건축의 방향성과 구조 개편을 제안하며 이같이 말했다.

    김 교수는 이날 “충청남도는 지난해 전국 최초로 ‘건축도시 선언’을 통해 ‘살고 싶은 도시’로 나아가고 있다”며 “지금은 전국 공공건축의 전환점이며, 기후위기 시대에 걸맞은 녹색 건축을 조성할 때”라고 강조했다.

    김 교수는 이어 △공공건축 기획 권한의 건축 전담 부서 집중 △소규모 주민 친화형 건축 확대 △빈집 재생 공공건축화 △목재 이용 건축 활성화 등 4가지 정책을 제안했다. 특히 “건축 예산만 도와 시군 합쳐 연간 5조 6000억 원, 전체 예산의 47%”라며 “이 막대한 공공자산이 단지 ‘지어지는’ 데서 그쳐선 안 된다”고 지적했다.

    그는 “충남도는 기획과 설계를 ‘건축디자인과’로 일원화해 예술의 전당, 선문화플랫폼, 도립의료원 등 주요 건축사업의 품질을 높이고 있다”며 “하지만 시군에서도 건축의 기획·설계 권한이 여러 부서에 흩어져 있어 비효율이 발생하고 있다”고 짚었다. 이어 “규모가 크거나 주민 삶에 밀접한 사업은 타당성 조사부터 건축부서 주도 아래 추진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김 교수는 또 “작은 건축이 큰 변화를 만든다”며 “100~200평 규모의 소규모 공공건축물은 주민 일상과 맞닿아 있는 공간으로, 연간 400여 건 중 절반 이상이 이런 중소 규모임에도 그 가치를 간과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단지 ‘예쁘게’가 아니라, 교육·복지 등 지역 복합 기능을 담아야 한다”고 했다.

    ‘빈집의 공공건축 전환’도 제안됐다. 김 교수는 “모든 빈집을 다 쓸 순 없지만, 귀농·귀촌인 이나 청년이 빵집이나 카페, 학교 등 ‘생산 기반’으로 활용할 수 있게 하면 지역 자산이 된다”며 “충남이 선도하면 전국이 주목할 것”이라고 말했다.

    마지막 제안은 목재 건축물이다. 그는 “목재는 탄소중립 기여뿐 아니라, 충남 건축의 정체성과 품격을 상징하는 자산”이라며 “세계 관광자원과 연결되는 목재 공공건축 사업을 확대하자”고 제안했다.

    김 교수는 “충남도는 광역 지자체 중 유일하게 건축 전담국을 두고 있는 지역”이라며 “이제는 시군도 동참해 충남이 대한민국 공공건축의 새로운 표준을 만들어야 할 때”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