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서실 줄줄이 검찰행…반복된 경고에도 외면, 무책임이 만든 서구청의 민낯
  • ▲ 대전 서구의회 조규식 의장 등 11명의 의원들은 17일 전현직 비서실장을 포함한 19명이 뇌물수수와 직권남용 혐의로 검찰에 송최된 것과 관련해 서철모 구청장을 직무유기와 뇌물방조혐의로 검찰에 고발하겠다고 밝혔다ⓒ 서구의회
    ▲ 대전 서구의회 조규식 의장 등 11명의 의원들은 17일 전현직 비서실장을 포함한 19명이 뇌물수수와 직권남용 혐의로 검찰에 송최된 것과 관련해 서철모 구청장을 직무유기와 뇌물방조혐의로 검찰에 고발하겠다고 밝혔다ⓒ 서구의회
    대전 서구청이 ‘비리 백화점’으로 전락하고 있다. 서철모 구청장의 전·현직 비서실장을 포함한 19명이 뇌물수수와 직권남용 혐의로 검찰에 송치됐다는 사실은 단순한 내부 비리를 넘어, 서구 행정 전반이 총체적 부실에 빠져 있음을 보여준다. 그런데도 서 구청장은 “나는 관여하지 않았다”, “불법 청탁이 확인되면 조치하겠다”, “임명 전 일이다”라며 본질을 외면하고 있다.

    이쯤 되면 ‘몰랐다’는 말은 더 이상 해명이 아닌 ‘회피의 공식’처럼 보인다. 비리 업체와의 계약은 2024년 11월 언론에 보도됐고, 12월에는 서구의회 본회의에서도 공개 지적됐다. 

    하지만 서 구청장은 “안전도에는 문제가 없다”며 책임을 넘겼고, 이후에도 해당 업체와의 계약은 계속됐다. 이런 반복은 단순한 방관이 아니라, 구청장 스스로가 최소한의 관리 책임조차 다하지 않았다는 방증이다.

    최근에는 비서실장이 입찰 비리 의혹으로 압수수색을 당했다. 리베이트 정황까지 포착된 가운데, 그는 현재 연가를 내고 출근조차 하지 않고 있다. 서 구청장이 직접 돈을 받지 않았다고 해도, 그 최측근들이 줄줄이 범죄 의혹에 연루되고 있다면 묵인 혹은 관리 실패의 책임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

    더 심각한 문제는 서구청이 이런 상황을 '모른 척' 하며 운영돼 왔다는 점이다. 문제 계약은 의회에서 지적돼도 시정되지 않았고, 시민단체의 경고에도 “문제 업체인지 몰랐다”는 해명만 반복됐다. 이는 명백히 ‘무능의 고백’이다. 더 늦기 전에 전면적인 수의계약 전수조사와 내부 감시 시스템 개혁이 필요한 이유다.

    대전참여자치시민연대와 서구의회 야당 의원들이 ‘직무유기·뇌물죄 방조’ 혐의로 서 구청장을 검찰에 고발한 것은 단순한 정치적 공세가 아니다. 이는 서구 행정을 바로 세우기 위한 불가피한 조치이자, 책임 있는 공직자의 부재가 초래한 비극에 대한 시민적 분노의 표현이다.

    이제 서철모 구청장은 말이 아닌 ‘행동’으로 답해야 한다. 반복되는 ‘몰랐다’는 변명은 면죄부가 아니다. 그는 더 이상 구민의 신뢰를 저버리는 무책임한 태도로 자리를 유지해서는 안 된다. 책임을 질 수 없다면, 자리도 지켜서는 안 된다. 이것이 최소한의 도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