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건양대병원 김광균교수(정형외과)가 지난달 24일~27일까지 프랑스 마르세유에서 개최된 제51회 유럽골다공증학회에서 동-서양 연구자 연구상을 수상했다.ⓒ건양대병원
    ▲ 건양대병원 김광균교수(정형외과)가 지난달 24일~27일까지 프랑스 마르세유에서 개최된 제51회 유럽골다공증학회에서 동-서양 연구자 연구상을 수상했다.ⓒ건양대병원
    건양대병원은 3일 김광균 교수(정형외과)가 지난달 24~27일 프랑스 마르세유에서 개최된 제51회 유럽골다공증학회에서 ‘동-서양 연구자 연구상’을 수상했다.

    김 교수는 ‘고관절 골절환자에서 골다공증 진담 및 관리를 위한 처방전달시스템 및 전자의무기록’을 활용한 묶음 처방 및 알람 창의 효과라는 주제의 연구를 발표했다.

    고관절 골절환자에 특화된 처방전달시스템과 전자의무기록을 개선, 고관절 골절 상병을 입력하면 '해당 환자는 골다공증 관리 대상자'라는 알람 창이 자동으로 열리게 되며, 재골절 예방을 위한 골절환자연계시스템으로 관리된다.

    또 이 전산 시스템을 통해 외래 방문 시 해당 내용이 자동으로 나타나게 함으로써 골다공증 진단 및 치료율을 외래에서도 향상시켜 재골절 예방에 기여하도록 했다.

    고관절 골절환자는 골절 후 재골절 발생이 골절을 경험하지 않은 군보다 1-2년 내에 5배 이상 골절이 증가하기 때문에, 골다공증 치료가 반드시 필요하다. 

    하지만 의학 보고에 따르면 골다공증 골절을 경험한 환자의 41%만이 첫 1년 내에 골다공증약을 투여하기 시작하고, 이 중 66%는 1년 내에 약을 중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해외 많은 국가에서는 정부나 의료기관의 지원으로 고관절 골절환자에서 수술 전 검사, 낙상 예방 및 운동 교육, 지속적인 외래 방문 등을 코디네이터를 중심으로 통합적으로 관리중이며, 이 경우 재골절률 및 사망률의 감소를 보고하고 있다.

    하지만 국내는 이 같은 체계적인 운영이 이뤄지지 않고 있다.

    김 교수는 “연구를 통해 지원이 빈약한 국내 상황에서 차선책으로 처방전달시스템과 전자의무기록의 개선을 통한 골다공증 진단 및 치료율 증가를 제시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