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소재공학과 장재범·김일두 교수연구팀 성과기존 생체 형틀법 활용 전기화학 촉매 반응·수소 감지 센서 활용 가능성
  • ▲ 어드밴스드 사이언스 표지논문 이미지.ⓒKAIST
    ▲ 어드밴스드 사이언스 표지논문 이미지.ⓒKAIST
    KAIST 신소재공학과 장재범‧김일두 교수 연구팀이 생체 형틀법을 이용해 세포외 기질을 구성하는 여러 단백질 중 원하는 특정 단백질만을 선택해 해당 단백질 구조체를 모방한 금속 필름 합성 및 전기 전달 특성을 확인했다고 16일 밝혔다. 

    장재범‧김일두 교수 연구팀은 세포외 기질이란 세포 밖에 존재하며 세포의 분화, 성장, 이동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할 뿐만 아니라 생체 조직과 기관(organ)의 구조적·기계적 특성 유지에 필수적인 생체 구조물이다. 

    이러한 세포외 기질은 여러 단백질을 포함하며, 그 단백질 구조체를 원하는 형태로 변형하거나 최근에는 세포외 기질을 3D 프린팅을 위한 바이오잉크로 사용할 만큼 세포외 기질을 다루는 많은 기술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따라서 세포외 기질은 생체 형틀법을 통해 다양한 구조의 재료 합성에 이용될 수 있지만, 현재까지 관련된 연구는 많이 이뤄지지 않았다. 

    앞서 연구팀은 2022년 항체(Antibody)를 활용한 신개념 생체 형틀법인 `항체 유도 생체 형틀’을 개발해 최초로 다세포 생물 내부에 있는 특정 단백질 구조체를 모방한 금속 구조체를 합성하는 데 성공했다. 

    이번 연구는 이전 연구를 세포외 기질로 확장해 세포를 지탱하는 구조체를 구성하는 단백질 중 피브로넥틴(fibronectin)을 표적 단백질로 삼아 그물형 금속 필름 제작에 성공했다. 

    연구팀은 이에 더 나아가 합성한 그물형 금속 필름에 추가적 처리를 통해 금속을 통한 전기 전달이 가능하도록 만들었으며, 이를 기반으로 물을 전기 분해해 수소를 생산하거나 수소와 금속 간 화학적 반응을 통해 수소를 검출할 수 있는 센서로 활용할 수 있었다. 

    해당 기술은 다양한 생물의 세포외 기질에도 적용 가능할 그것으로 예상해 더 큰 규모나 더 복잡한 생체 모방 재료 합성도 가능할 것으로 기대되며, 원하는 형태로 세포외 기질을 패턴화 및 정렬함으로써 본 기술로 전기 회로 제작도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KAIST 신소재공학과 송창우 박사과정, 안재완 박사가 공동 제1 저자로 참여한 이번 연구는 국제 학술지 어드밴스드 사이언스(Advanced Science)에 10월 18일 자로 온라인 공개됐으며, 전면 표지 논문(Front Cover)으로 선정됐다.

    제1 저자인 송창우 박사과정은 “이번 연구는 기존에 개발한 항체 유도 생체 형틀법을 세포외 기질로 확장함으로써 합성된 생체 모방 재료가 더 다양한 분야에 활용 가능하다는 것을 보였다. 이를 기반으로 조직 수준의 세포외 기질 및 원하는 형태로 변형된 세포외 기질을 이용해 조직 공학(Tissue engineering) 및 생체 조직 제조(Biofabrication)로 활용 범주를 넓힐 수 있을 것ˮ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