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카이스트가 지난 5일 일본의 대한 수출 규제와 화이트리스트(백색국가) 제외 조치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국내기업을 돕기 위해 ‘소재·부품·장비 기술자문단’을 꾸린 가운데 많은 관련 기업체에서 매칭을 위한 의뢰가 폭주하고 있다.
6일 카이스트에 따르면 전·현직 교수진 100여명으로 기술자문단을 구성해 운영하고 있으며, 이날 현재 60여 기업체에서 전화 또는 이메일을 통해 매칭 문의가 잇따르고 있다.
카이스트의 자문단 운영은 일본이 우리나라에 대한 두 차례 경제보복을 단행해 곤란한 상황에 놓인 기업의 애로기술 문제를 해결하고, 카이스트 설립 목적에 따라 과학기술대학으로서 위기를 맞은 국가 기간산업계에 기술을 지원해 국가 발전에 기여하기 위함이다.
기술자문단은 일본의 수출 규제 영향을 받을 것으로 예상되는 반도체·에너지·자동차 등 주요산업분야 1194개 품목 가운데 우선 159개 소재 등 관리 품목과 관련이 있는 중견·중소기업의 원천기술 개발을 지원하고 자문하는 역할을 한다.
기술자문단은 최성율 공대 부학장을 단장으로 △첨단소재분과(팀장 이혁모 신소재공학과장) △화학·생물분과(팀장 이영민 화학과장) △화공·장비분과(팀장 이재우 생명화학공학과장) △전자·컴퓨터분과(팀장 문재균 전기 및 전자공학부장) △기계·항공분과(팀장 이두용 기계공학과장) 등 5개 분과를 두고 분과별로 각 20여 명씩 카이스트의 전·현직 교수 100여명이 참여하고 있다.
각 분과는 해당 업체들의 기술자문 요청에 담당교수를 지정해 대응하고 지원상황과 문제해결 결과 등을 관리하며, 기업이 요청하는 기술상 문제점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진단해 최적화한 기술자문을 하기 위해 자문단 산하에 소재·부품·장비 기술자문 접수 전담 창구를 설치했다.
신상철 총장은 “과거 무력이 주도하던 시대는 군인이 나라를 지키는 전사였지만 4차산업혁명 기술패권 시대는 과학기술인이 나라를 지켜야 한다”며 “카이스트는 개원 이래 지난 48년간 과학기술 분야의 고급인재를 양성하고 연구·개발하는 국가적인 사명을 수행해 왔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카이스트는 현재 닥친 시대적 위기상황을 감당하기 위해 기술자문단을 꾸렸다. 자문단은 단기적으로는 소재·부품·장비 분야의 애로 기술개발을 자문하는 119 구급대 구실을 다하고 중장기적으로는 카이스트가 해당 분야의 글로벌 경쟁력을 높이는 견인차 구실을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홍보실 이반석 행정원은 “이날 오후 5시 현재 전화 50건, 메일 15건 등 모두 65건이 접수돼 최성율 기술자문단장이 관련 기업체와의 매칭을 위한 업무로 눈코뜰새 없이 바쁘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