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충북 증평군이 김득신 문학관을 건립하려고 계획한 증평도서관 주변 송산리 부지 일대.ⓒ김종혁 기자
충북 증평군이 ‘김득신 문학관’ 건립을 추진하다가 군의회에 제동이 걸리며 밀어붙이기식 행정 추진에 발목이 잡혔다.
8일 군과 군의회는 김득신 문학관 건립을 위한 간담회를 가질 예정이었으나 군의회는 “진전된 내용이 없다”며 간담회 자체를 열지 않았다.
김득신 문학관은 군이 2015년 5월 사업계획을 수립하며 시작됐다. 같은 해 12월 중기지방재정계획에 반영되고 올해 1월 지방재정 투자심사 승인 요청을 거쳐 지난 9월 타당성 검토 용역 중간보고회까지 열었다.
그러나 순탄해 보이기만 한 일련의 추진 과정에서 군의회는 예정부지와 사업 타당성에 대해 계속 이의를 제기 했으나 군이 일방적으로 밀어붙인 것으로 드러났다.
A의원은 “사업 계획부터 의회는 문학관 건립보다 읍사무소 등 청사 건립이 우선돼야 한다는 입장 이었다”며 “그러나 군은 의회와의 협의 없이 투자심사를 신청 하는 등 일방적으로 문학관 건립을 강행했다”고 말했다.
이어 “더구나 군이 문학관을 지으려는 송산리 부지는 군이 읍사무소 등 청사를 이전하기위해 마련한 부지인데 도서관에 이어 문학관까지 지으면 청사 이전 등에 차질이 발생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아울러 “지난 9월에 가진 용역 중간 발표회만 보더라도 군의 밀어붙이기식 행정이 적나라하게 드러난다. 용역 내용은 송산리 부지에 문학관을 건립하기 위한 홍보물과도 같다”며 “당시에도 의회는 굳이 문학관을 건립하려면 송산리 말고 다른 부지를 찾아보라고 권유 했었다”고 밝혔다.
그러나 군은 의회의 만류에도 불구하고 문학관 건립을 추진하다가 지난 1일 군의회 행정사무감사에서 ‘사업전면 재검토’ 요구를 받으며 급제동 됐다.
군 관계자는 “의회가 내년도 사업비를 승인하지 않으면 기존에 확보한 국비 18억원과 도비 13억5000만원을 반납해야 한다”며 “다른 부지로 사업 계획을 변경하려면 투자 심사 등 처음부터 관련 절차를 밟아야 한다”며 난색을 표했다.
물론 어렵게 확보한 국비를 반납하는 것은 아깝지만 보다 중요한 것은 군의회와 주민 여론을 무시한 밀어붙이기식 행정이 가장 큰 문제다.
현재 증평읍사무소는 군청과 같은 공간을 사용하고 있어 주차난 등이 심각해 당장이라도 이전해야할 상황이다.
그러나 장기적인 사업인 청사 이전은 미뤄놓고 1년이면 뚝딱 세울 수 있는 문학관 건립 추진은 실적 쌓기가 아니냐는 의구심까지 들게 한다.
확보한 국비를 반납하느냐, 건립을 추진하느냐의 최종 판가름은 군의회가 곧 진행할 내년도 예산심의에서 문학관 건립 사업비를 승인하느냐에 따라 결정될 전망이다.
한편 김득신 문학관은 군이 증평읍 송산리 일대 건축연면적 1500㎡에 지하1층, 지상 3층 규모로 총사업비 45억원(국비 18억원, 도비 13억5000만원, 군비 13억5000만원)을 들여 건립할 계획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