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합측 “보상가는 공인기관서 결정된 것이며 원 건설 분양가도 높지 않아”
  • ▲ 22일 충북 청주시 탑동2구역의 재개발을 놓고 강행하는 조합측의 현수막(윗쪽)과 반대 주민들의 현수막이 나란히 걸려있다.ⓒ김종혁 기자
    ▲ 22일 충북 청주시 탑동2구역의 재개발을 놓고 강행하는 조합측의 현수막(윗쪽)과 반대 주민들의 현수막이 나란히 걸려있다.ⓒ김종혁 기자

    충북 청주시 탑동2구역 재개발 사업이 오는 30일 ‘관리처분 총회’를 앞두고 조합측과 반대 주민간 ‘낮은 보상가’ 책정에 대한 갈등의 골이 점점 깊어지고 있다.

    22일 탑동2구역 재개발 저지 비상대책위원회 사무실에는 지역 주민들이 모여 앞으로의 대책 등을 논의했다.

    김흥순 비대위 공동위원장은 “어제에 이어 앞으로의 대책을 논의했다”며 “오는 27일 청주시장과의 면담이 예정돼 있다. 그 자리에서 낮은 보상가 책정 등 현재 조합의 실태를 설명하고 시의 대책을 들어볼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어 “29일에는 시공사인 원 건설을 항의 방문해 높은 분양가에 대해서도 따져 물을 것”이라며 “시청 앞에서 집회도 가질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이처럼 비대위가 촘촘한 일정을 잡은 데는 오는 30일로 예정된 조합의 ‘관리처분 총회’를 저지하기 위한 움직임으로 분석된다.

    비대위에 따르면 2008년 8월부터 시작된 재개발 사업이 그동안의 경기침체 등으로 표류하다가 지난해 원 건설이 시행사로 계약을 맺으며 주민에게 아파트 분양을 시작하며 본격적으로 재개됐다.

    원 건설이 제시한 분양가는 일반분양 800만원대며 조합원에게는 12% 할인된 700만원대의 분양가와 1000만원 상당의 부대비용 제공 등을 내세워 주민들의 분양을 받아냈다.

    그러나 문제는 그 후 1년여만인 지난 1일 턱없이 낮은 보상가를 책정하면서 불거졌다.

    그동안 주민들은 조합에 가입하고 아파트를 우선 분양 받으면 얻을 수 있는 프리미엄을 기대했으나 이 지역에 내려진 보상가는 140만원~300만원 정도로 책정됐다.

    한 주민의 경우 현재 살고 있는 30평형 집을 5000만원에 보상받고 새로 지은 아파트 27평형에 1억9000만원에 입주해야 하는 상황이다.

    주민 A씨는 “그동안 조합측에서 충분한 보상가로 아파트에 들어갈 수 있다고 주민들을 설득해 동의서를 받아냈다. 그러나 최근에 나온 보상가는 말도 안 되게 낮아 어디로 이사 갈 형편도 못된다”고 심경을 토로했다.

    비대위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그동안 수차례 청주시에 문의했으나 시는 “조합에서 알아서 할 일이다. 시가 관여할 사안이 아니다”는 원론적인 답변만 돌아왔다고 전했다.

    또한 주민 대부분이 70~80대여서 조합이나 시 등에서 전해오는 서류를 제대로 검토하고 판단하기 어려운 상황이어서 그동안 조합측이 추진한 사업 절차에 많은 문제점이 있다는 설명이다.

    이를 위해 비대위는 고문변호사를 선임했으며 ‘전국 뉴타운 재개발 비상대책위원회’ 회장을 초청해 자체 주민 설명회를 가질 예정이다.

  • ▲ 청주시 탑동2구역 재개발을 반대하는 주민들의 정비구역 해제동의서.ⓒ김종혁 기자
    ▲ 청주시 탑동2구역 재개발을 반대하는 주민들의 정비구역 해제동의서.ⓒ김종혁 기자

    비대위 관계자는 “이처럼 낮은 보상가로는 다른 곳으로 이사를 갈수도, 새 아파트 분양을 받을 수도 없다”며 “총회에 불참해 조합 자체 해산을 위한 투쟁을 계속해 나갈 것이다. 그동안 340가구 중 180여 가구가 반대서명에 동참했다”고 강조했다.

    이어 “분양가는 지난해 던져놓고 1년이 지난뒤에 보상가를 책정한 것부터 잘못”이라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조합측은 “감정평가 기준은 공인된 기관에서 시세에 따라 결정한 것”이라며 “조합원중 분양신청자가 아닌 현금청산자는 총회 후 재평가가 이뤄질 예정”이라고 밝혔다.

    아울러 “원 건설의 분양가도 높은 편이 아니다. 특히 조합원에게는 분양가 12%인하와 내부시설 등 옵션에 2500만~3000만원 정도 혜택이 돌아간다”고 말했다.

    오는 30일 예정된 총회는 조합원 중 아파트 분양을 신청한 249가구 중 20%인 50여 가구가 참석해야만 성립될 수 있다. 하지만 비대위를 중심으로 한 주민들의 반대 의지가 강해 총회가 제대로 열릴지도 미지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