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습권·정서권·교권의 균형이 대전 교육의 출발점”“실험보다 실천, 계획보다 사람…현장서 답을 찾겠습니다”
-
- ▲ 김한수 전 배재대 부총장이 본지와의 인터뷰에서 교육철학과 정책 비전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김경태기자
내년 대전시 교육감 선거 출마를 준비 중인 김한수 전 배재대 부총장이 본지와의 인터뷰에서 자신이 구상하는 대전 교육의 방향과 정책 비전을 밝혔다.21일 김 전 부총장은, ‘사람 중심의 교육’을 강조하며, 학습권 회복과 정서 지원, 교권 보호를 ‘3대 축’으로 제시했다.다음은 김 전 부총장과의 일문일답이다.-교육감 출마를 결심하게 된 가장 큰 이유는 무엇입니까.“교육이 지금 많이 흔들리고 있습니다. 대전은 학령인구 감소와 다문화 전환기, 기초학력 저하 등 겹겹의 위기를 맞고 있으며, 특히 교육은 단순히 정책이나 사업이 아니라 사람의 가능성을 키우는 일이다.저는 교육을 ‘사람을 담고 다듬는 일’이라 생각한다. 아이 하나도 놓치지 않는 교육대전에서 실현하고 싶습니다.”-가장 시급한 교육 과제는 무엇이라고 보십니까.“첫째는 ‘기초학력 회복’입니다. 한글이나 수 개념도 익히지 못한 채 상급학교로 올라가는 아이들이 너무 많습니다. 진단과 맞춤형 지원을 체계화하겠습니다.둘째는 ‘정서 회복’입니다. 배움은 감정이 안정돼야 가능해요. 정서 전문 상담교사를 확대하고, 심리·학습 통합지원센터를 신설하겠습니다.마지막은 ‘교사의 회복’입니다. 교사가 안전하고 존중받아야 학생도 건강하게 자랍니다. 교권 보호에, 실효성 있는 시스템을 마련하겠습니다.”-다문화, 돌봄 등 지역 현안과 연계된 정책 구상도 있으신가요.“대전은 다문화 가족이 빠르게 늘고 있습니다. 단순한 언어 통역이 아니라, 정서와 문화의 소통이 필요합니다. 심리·언어 전문가를 학교와 마을에 배치하고, 다문화 학생을 위한 적응 프로그램을 강화하겠습니다.또, 초등 돌봄 문제는 학교만의 몫이 아니라 마을과 지자체가 함께 풀어야 할 과제입니다. ‘학교 안의 마을 돌봄 체계’를 구축하겠습니다.”-대전 교육의 큰 그림을 어떻게 그리고 계신가요.“저는 ‘현장에서 움직이는 교육’을 만들고 싶다. 실험보다 실천, 계획보다 사람. 누구나 불편함 없이 배우고, 누구도 소외되지 않는 구조가 필요하다.예를 들어 △기초학력 안심 카드, △정서 지원통합센터, △교권 회복 매뉴얼, △학교 안 마을 돌봄 같은 현실적 제도부터 하나씩 실현해 나가겠습니다.”-마지막으로 대전 시민, 학부모에게 하고 싶은 말씀이 있다면.“아이 한 명의 가능성은 사회 전체의 미래입니다. 교육은 바로 그 가능성을 지키는 일입니다. 저는 책상 위의 계획보다 현장의 마음을 먼저 듣겠습니다. 교육이 행정이 아니라 사람의 일이 되도록, 끝까지 책임지겠습니다.”한편, 김 전 부총장은 현재 더불어민주당 선대위 교육 공동위원장, 산림청 중앙산지 관리위원회 위원을 맞고 있으며, 배재대 부총장·산학협력단장. 건양대 대학평의원회 의장·입학처장 ·스포츠의학과 교수 등을 역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