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속가능성 흔들리는 충남 딸기산업…브랜드 강화·식물공장 등 7대 전략 제시현장 농가 “자재비·인건비 부담 커…정책적 뒷받침 절실”
-
- ▲ 지난 7일 논산시 농업기술센터에서 열린‘충남 딸기산업 활성화 방안 마련을 위한 의정토론회’.ⓒ충남도의회
충남 딸기산업이 기후 변화, 인력난, 생산비 증가 등 삼중고에 직면하며 미래 생존의 기로에 섰다. 충남도의회가 이를 ‘구조적 위기’로 규정하고, 지속가능한 산업으로 전환하기 위한 본격적인 논의에 착수했다.충남도의회는 지난 7일 논산시 농업기술센터에서 ‘충남 딸기산업 활성화 방안 마련을 위한 의정토론회’를 열고 산업의 현주소를 진단하고, 향후 구조 개편 방향을 모색했다.이날 토론회에서 좌장을 맡은 오인환 의원(논산2)은 “기후변화에 따른 재배 환경의 불확실성 증대, 인력 부족, 자재비 상승 등 구조적 어려움이 딸기산업을 위협하고 있다”며 “이러한 위기를 극복하고 지속 가능한 성장을 이루기 위해서는 딸기산업의 구조를 미래지향적으로 전환해 나가야 한다”고 강조했다.발제를 맡은 김태일 충남농업마이스터대학 주임교수는 충남 딸기의 현황과 과제를 짚으며 △브랜드 가치 제고를 위한 품질 고급화 △재배 안정성과 생산성 향상 △조직배양묘 보급 확대 △수출 단지 육성 △생산시설의 조직화·규모화 △인력 수급 대응 △딸기의 관광 상품화 등 7가지 개선 방향을 제시했다.현장 전문가들은 산업 지속 가능성을 위해서는 단순한 재배 지원을 넘는 근본적 체질 개선이 필요하다고 입을 모았다. -
- ▲ 충남도의회 주최로 지난 7일 논산시 농업기술센터에서 열린‘충남 딸기산업 활성화 방안 마련을 위한 의정토론회’를 마친 뒤 참석자들이 딸기 발전을 위해 파이팅을 하고 있다.ⓒ충남도의회
이택현 논산농어업회의소 사무국장은 “딸기 재배 과정에서 발생하는 부산물을 사료 등으로 자원화해야 한다”며 “환경친화적 농업과 자원순환 체계를 갖추는 것이 시급하다”고 말했다.김재한 딸기농장 대표는 “식물공장을 통한 연중 생산 체계를 갖춰야 수출도 가능하다”며 “국가와 지자체가 식물공장 단지를 적극 조성하고, 생산자가 주도권을 쥘 수 있는 구조를 만들어야 한다”고 제안했다.강대석 논산딸기연구회 회장은 “인건비, 외국인 숙소 문제, 자재비 상승 등 농가 현장의 애로사항이 넘쳐난다”며 “자조금 제도 등도 홍보가 부족한 상황”이라고 지적하고, “농가의 목소리를 정책과 예산에 반영해 구체적인 해결책을 마련해달라”고 요청했다.이상열 충남도 박람회준비TF팀장은 “2027년 논산 세계딸기산업 엑스포를 국제행사로 승인받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며 “엑스포를 통해 충남 딸기의 경쟁력을 세계에 알리고 산업의 새 전기를 마련하겠다”고 말했다.이번 토론회는 충남도의회가 주최했지만, 실제 논의의 초점은 위기에 놓인 딸기산업의 미래를 향한 구조적 전환에 맞춰졌다는 데 의미가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