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최초 ‘대전팜’ 선보여… 농업과 도시문제 해결하는 혁신 모델 주목첨단기술 접목한 스마트 농업·귀농귀촌 정책·로컬푸드 육성 등 종합 정책 발표
-
- ▲ 제186회 대덕과학포럼’에서 농업정책을 설명 중인 임성복 농생명정책과장.ⓒ김경태기자
대전시가 도심 지하공간에 스마트팜을 조성하며 농업과 도시문제 해결을 동시에 꾀하는 ‘미래농업 도시’로 발돋움하고 있다.임성복 대전시 농생명정책과장은 26일 한국과학기술단체 총연합회 주최 제186회 대덕과학포럼에서 농업과 첨단과학기슬의 결랍, 대전형 미래농업의 발전 방향을 주제로 대전시 농업정책을 소개했다.특히 대전시가 전국 최초로 도입한 ‘대전팜’은 도심 유휴공간을 활용한 농업 혁신의 대표 사례로, 햇빛도 농약도 필요 없는 새로운 재배 방식으로 노동력과 비용을 줄이면서도 수익을 창출할 수 있는 도심형 스마트 농업의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고 강조했다.임 과장은 이날 발표에서 △대전시의 스마트 농업 정책 △농촌 체류형 쉼터와 농막의 차이 △농업 분야 첨단기술 도입과 혁신 성장 등 다양한 주제를 통해 대전형 농업 모델의 비전을 설명했다.특히 대전시는 그린바이오 산업 특구 지정을 추진 중이며, 농업 혁신을 위한 기반 마련에 힘쓰고 있다.충남대와 협력해 100억 원 규모의 농업 발전기금을 확보했으며, 후계 농업경영인 연합회 활동 지원과 소득 보전 사업도 병행하고 있다.또한, ‘한박가족 인증제’를 도입해 농가 인증 제도의 신뢰성을 높였으며, 로컬푸드 공동브랜드 ‘베로팜’을 개발해 GAP 인증 이상 농가에만 사용을 허용하는 등 품질 중심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
- ▲ 한국과학기술단체 총연합회 소속 고경력 과학기술인 등이 임성복 과장이 소개하는 대전시 농업정책을 경청하고 있다.ⓒ김경태기자
전통시장 활성화를 위한 ‘황금벤터’ 프로그램 운영, 반려동물 문화조성원 설립을 통한 유기동물 입양지원 및 교육 사업, 귀농귀촌 인력 지원 확대 등 다각적인 정책도 병행 중이다.농막에 대해서는 “농지를 임의로 사용할 수 없고 대출 자금 출처까지 공개해야 하는 현실적 어려움이 있다”며, 그린벨트 내 설치는 가능하지만 6평 이내로 제한되며 전입신고나 숙박은 불가하다고 설명했다.반면 체류형 쉼터는 전입신고가 가능하다는 점을 강조했다.대전시는 도심 어디서나 농작물을 재배하고, 인근 식당에 직접 식재료를 공급할 수 있는 스마트팜을 통해 에너지 절감과 물류 효율까지 확보하는 ‘도시형 농업’의 미래를 구체화하고 있다.또 의료용 대마, 고가 잎채소 등 고부가가치 작물 연구도 계획 중이다.임 과장은 “대전형 스마트 농업 첨단 산업 관리 조성을 통해 농업의 신성장 산업화를 이끌고, 정부와 함께 농업 혁신의 성장 계획을 실현해 나가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