된장국에 고추 하나, ‘1만 원 도시락’의 배신…충주시, 장애인 체전 ‘모욕 논란’사전 점검 없고, 업체 강제 권유…부실 도시락 사태는 ‘명백한 행정 실패’
  • ▲ 24일 충주에서 열린 제19회 충북장애인도민체육대회에서 선수단에 제공된 도시락. 밥과 된장국, 고추 1개, 무말랭이, 고추장, 김치가 전부다.ⓒ선수단 제공
    ▲ 24일 충주에서 열린 제19회 충북장애인도민체육대회에서 선수단에 제공된 도시락. 밥과 된장국, 고추 1개, 무말랭이, 고추장, 김치가 전부다.ⓒ선수단 제공
    “하나 되는 충북도민”이라는 구호, 부실 도시락 앞에 무너졌다. 

    제19회 충북장애인도민체육대회에서 제공된 ‘1만 원 도시락’이 충북은 물론 전국적인 비판의 도마 위에 올랐다. 된장국에 고추 하나, 무말랭이와 김치, 고추장, 밥이 전부였던 도시락이 장애인 선수들에게 제공됐다는 사실은 체육대회의 의미를 무색하게 만들기에 충분했다. 경기에 참여한 선수들은 “이게 1만 원짜리냐”는 분노와 함께, 충주시가 대회를 어떻게 준비했는지에 대한 근본적인 의문을 제기했다.

    더욱 충격적인 것은, 일부 시·군 체육회가 자율적으로 도시락 업체를 선택하려 했으나, 충주시장애인체육회가 밥차 운영이 가능한 여러 급식업체의 ‘목록’을 제공했다고 한다. 결과적으로 8개 시·군이 이 도시락을 단체로 주문했고, 받은 도시락의 형편없는 수준에 체육회 관계자들도 “차마 선수들 얼굴을 볼 수 없었다”며 고개를 떨궜다. 한 군 체육회 관계자는 “이건 충주시가 개최 도시로서의 기본조차 지키지 않은 명백한 행정 실패”라며 목소리를 높였다.

    ◇도시락, 단순한 끼니 해결 아닌 경기력과 ‘직결’…충주시 이미지에 ‘먹칠’

    식사는 단순한 끼니 해결이 아니라 경기력과 직결되는 필수 조건이다. 특히 장애인 선수들에게는 건강과 체력을 뒷받침하는 중요한 요소다. 이런 점에서, 주최 측이 사전에 도시락 품질을 점검하지 않았다는 사실은 충격 그 자체다. 참가 선수들의 건강과 자존심을 무시한 처사이며, 이는 곧 충주시의 이미지 실추로 이어졌다. 일부 체육회는 지난해 고품질 도시락에 감동받았던 장애인 선수들의 기대가 산산조각 났다며 안타까움을 드러냈다.

    충북 청주의 한 도시락 업체 대표는 “사진만 봐도 이건 3000원도 안 된다. 장애인을 상대로 이런 도시락을 납품했다는 것이 말이 안 된다”며 참담함을 감추지 못했다. 이는 단순한 도시락의 문제가 아니라, 행정의 태도와 철학, 그리고 장애인체전에 대한 사회적 인식을 보여주는 민낯이다.

    ◇장애인체전 전 도시락 사전 점검만 했어도…‘적나라하게 드러낸 무책임’

    이번 사태는 단순한 실수가 아니라, 사전에 충분히 막을 수 있었던 일이라는 점에서 더욱 분노를 산다. 도시락 품질에 대한 사전 점검, 업체 선정의 공정성, 메뉴 구성의 적절성 등 기본적인 절차만 지켰더라면 발생하지 않았을 논란이다. 이는 곧 충주시와 대회 준비 관계자들의 안일함과 무책임을 적나라하게 드러낸 결과다.

    이제 필요한 건 단순한 사과가 아니다. 누가, 어떤 방식으로 도시락 업체를 선정했고, 품질 관리는 왜 이뤄지지 않았는지, 명확한 조사가 있어야 한다. 피해 당사자인 선수들과 각 시군 체육회에 대한 사과는 물론이고, 다시는 이런 일이 반복되지 않도록 철저한 제도 개선이 뒤따라야 한다.

    ‘장애인도민체전’은 단순한 체육행사가 아니다. 사회적 약자에 대한 배려와 존중, 통합의 메시지를 담은 축제다. 도시락 하나로 이 모든 가치를 무너뜨린 충주시의 무책임은 비판받아 마땅하다. ‘하나 되는 충북도민’이라는 구호가 공허한 메아리로 끝나지 않도록, 이번 사태에 대한 철저한 반성과 재발 방지책이 반드시 뒤따라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