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똥을 보면 다 안다’
  • ▲ ⓒ자료 이재룡 칼럼니스트
    ▲ ⓒ자료 이재룡 칼럼니스트
    ​‘똥을 보면 다 안다.’

    ​똥을 중국식 한자로는 ‘분(糞)’, ‘시(屎)’로 일본 한자로는 ‘변(便)’이라 부른다. 똥과 불가분의 관계랄 수 있는 화장실은 예로부터 뒷간, 해우소, 변소, 측간, 정낭 등으로 불려 왔다. 기왕 솔깃한 ‘똥 이야기’를 시작했으니 덧붙여 똥에 온 신경을 집중해서 ‘썰’을 풀기로 한다. 

    이즈음 똥의 색깔과 모양은 어떤지를 살피고 냄새까지 맡았다. 똥을 하루에 몇 번을 싸는지, 정해진 시간에 나오는지, 그 분량은 어떠한지, 찰기가 있는지 아니면 물에 잘 부서지는지를 눈여겨 살폈다. 코로나 때문에 몇 날 며칠 동안 식음을 전폐하고 누워 있다가 고작 밥숟가락 들 힘이 생겼을 때 가장 겁이 났던 것은 똥이 나오지 않을 때다. 빈 방귀가 나오는가 싶더니 연신 창자가 뒤틀려 설사만 했고, 제대로 된 똥 한 번 싸지 못했다. 조심조심 부드러운 음식을 입에 넣고, 차근차근 오래도록 씹고 또 씹어도 소화가 쉽지 않았다. 

    이때의 똥은 엿가락보다 더 가늘어졌을 뿐 아니라 찰기가 전혀 없었다. 물에 잠긴 변기 속의 똥은 물을 내리면 곧바로 풀어졌다. 시간이 흐르면서 조금씩 똥이 굵어지고, 제법 찰기도 생겼다. 살만했다. 가장 중요한 것은 창자와 똥의 커뮤니케이션이다. 잘 먹으면 살 것이고 그렇지 못하면 죽을 것이다. 다시 말하면, 똥을 잘 싸면 된다는 말이다. 똥을 잘 싸는 것도 큰 복이다. 똥에서 구수한 냄새가 나고, 끈적거림이 유지되는 한, 어떤 병마와 싸워도 밀리지 않을 것이다. 

    똥을 누면 밑을 닦아야 한다. 다 알다시피 화장지를 사용하거나 물로 씻는다. 그러면 소싯적에는 어찌했을까. 오래전으로 거슬러 올라갈 것도 없다. 불과 얼마 전까지만 해도, 변소에 화장지 놓고 사용하는 집은 구경할 수도 없었다. 대부분 집에서는 신문지를 오려놓고 그것으로 밑을 닦았다. 이때 오래된 신문지가 아니라, 아침에 문 앞에 던져진 조간신문으로 밑을 닦으면 똥구멍 부근에는 영락없이 거무튀튀한 인쇄 기름이 묻어났다. 그래서 오래된 신문지를 오려놓았다가 기름기가 날아가면 그것을 실로 꿰어 화장실에 걸어놓고 사용했다. 이마저도 호사였다. 신문지가 지금처럼 흔해빠진 것이 아니었기 때문에 신문지를 사용하는 집이 많지 않았다. 화장실을 볏짚으로 된 헛간이나 마당 한 귀퉁이에 울타리처럼 만들어 두고는 변소 울타리를 이루고 있는 볏짚을 빼서 밑을 닦았다. 

    그래도 쪼끔 살만한 집에서는 아주 부드러운 햇볏짚을 모아서 쓰기도 했다. 소싯적 시절에 이곳저곳 친척 집이나 친구 집에 자주 놀러 다니다 똥이 마려우면 되도록 참았다가 집으로 돌아와서 해결했다. 똥은 귀한 거름이요 돈과 같았기 때문이다. 집에까지 오다가 쌀 것 같으면 그냥 논이나 밭 또는 산에서 일을 봤다. 뒤처리는 걱정할 일이 아니었다. 논두렁이나 밭두렁에 자라는 콩잎이 넓고 부드러워 밑을 닦기에는 따봉이었으니까, 산에서 똥이 마려우면 그냥 일을 봤다. 콩잎은 없지만 질 좋은 칡잎이 아주 많고 엉덩이를 감싸기에도 넉넉해서 즐겨 찾았다. 

    우리 민족은 깔끔하고, 똑똑하다. 변소에 짚으로 만든 새끼줄을 걸어놓고 사용했다. 그 새끼줄을 신용카드로 결제하듯 똥구멍에 대고 싹 긁으면 밑 닦기는 완성된다. 새끼줄을 한번 쓰고 버리면 수없이 많이 들어갈 것이다. 그래서 새끼줄은 아주 짧은 길이만 사용해야 했다. 

    무언의 약속이다. 나중에 다른 사람이 나머지 새끼줄에 대고 결제를 하도록 남겨둬야 한다는 말이다. 방앗간 집 아들 친구 집 변소에는 두툼한 전화번호부랑 농협에서 나눠준 일력이 있었다. 얇은 일력 한 장 뜯어 막 구겨서 쓰면 모나리자가 부럽지 않았다. 딱이다. 

    ​똥에도 격이 있다지만 백성은 분(糞), 시(屎), 변(便)으로 족해야 한다. 그런데 백성에게 툭하면 주리를 트는 이 아무개 똥은 매화(梅花)라고 불렀다. 아주 성능 좋고 비싼 ‘Made in 청나라’ 슈퍼컴퓨터를 장만해서 관상감에 주었더니 곧잘 맞춘다. 

    서울에는 3월 20일부터 4월 5일쯤 매화꽃이 핀다. 아직 매화꽃이 피기에는 이른 봄, 서울 강남구 봉은사로4길 29(역삼동) 지하로 내려가 어쭙잖은 와인 한 병으로 목젖을 훔쳤다. 알딸딸한 기분을 유지하며 밖으로 나오자 진눈깨비가 바람에 혼절하여 이리 지러 날린다. 텅 빈 수서역에서 눈을 끔뻑이며 고향 갈 SRT를 기다린다. 참 좋은 세상이다 쏜살같이 내달려 고향 집에 내려준다. 

    잠을 설치고 뒤척이다 기침하여 밖을 내다보니 어제 내린 눈 위로 이른 새벽닭이 지나다녀 그 모양이 대나무 잎과 같고, 마당을 뒹굴던 개의 발자국이 선명하다. 개 발자국을 눈여겨보니 매화꽃 모양과 매양 같아 보인다. 밤새 이 아무개는 용포 자락을 젖히고 저 눈 위에서 뭔 개지랄을 떨었는지 똥만 잔뜩 싸 놓았다. 똥 냄새가 지독하다. 식이섬유와 프리바이오틱스를 먹어야 한다고 했지만, 폭탄주‧부산어묵‧김치찌개를 그렇게 처먹더니 이런 사달이 났다. 변소에서 썩은 동아줄로 밑을 닦다가 새끼줄이 끊어져서 손에 똥이 묻었다. 똥 꿈을 꿨다. 

    ​똥에는 관심법이 묻어난다. 

    2024년 2월 22일 부끄러움을 깨닫는 것이 부끄러운 것이 아니라, 부끄러움을 모르는 것이 부끄러운 것이다. 이재룡 공자님께 꾸벅 인사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