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 최성율·김일두 교수 연구팀 “새 촉매 합성 공정 플랫폼이 될 것”강한 빛 조사 탄소나노섬유·그래핀 산화물 표면 온도 1800~3000도 급속 광열효과 유도고엔트로피 금속 나노입자 및 단일 원자 촉매 0.02초 이내 대기 중 제조 성공 “물 분해 반응, 가스 센서 등 촉매 제조 공정 비용 획기적 감소 기대”
  • ▲ 어드밴스 머터리얼스 11월 호속표지 이미지.ⓒKAIST
    ▲ 어드밴스 머터리얼스 11월 호속표지 이미지.ⓒKAIST
    대면적의 빛을 활용하고 대기 중의 환경에서 0.02초 이내에 연료전지 등 차세대 에너지 저장과 발전에 광범위하게 적용되는 고엔트로피 촉매 및 단일원자 촉매의 합성을 세계 최초로 구현했다.

    KAIST는 전기및전자공학부 최성율 교수 연구팀과 신소재공학과 김일두 교수 연구팀이 공동연구를 통해 강한 빛을 다양한 탄소 기반 소재에 조사해, 0.02초 이내에 나노입자 촉매와 단일원자(single atom) 촉매를 진공 시설이 없는 대기 조건에서 합성하고 우수한 촉매 성능을 구현하는 데 성공했다고 6일 밝혔다.

    연구팀은 지난해 4월 제논 램프 빛을 조사해 금속 산화물의 상(phase)변화와 표면에 촉매 입자가 생성될 수 있음을 최초로 밝혔고, 그 후속으로 소재의 광열 효과를 유도하는 합성법에 관한 연구를 진행했다. 이에 초고온(1800~3000도)과 빠른 승‧하온 속도(105 oC/초)를 통해 기존의 합성법으로는 구현할 수 없는 촉매 입자를 합성하는 데 성공했다. 

    이번 기술은 대면적의 빛을 활용하고 대기 중의 환경에서 매우 빠른 시간(0.02초 이내)에 고엔트로피 촉매 및 단일원자 촉매의 합성을 세계 최초로 구현한 기술이다. 

    광열 효과가 뛰어난 소재(탄소나노섬유, 그래핀 산화물, 맥신(Mxene))에 다종 금속염을 고르게 섞어주고 빛을 가하게 되면 초고온 및 매우 빠른 승‧하온 속도를 기반으로 최대 9성 분계의 합금 촉매를 합성할 수 있음을 밝혔다. 합금 촉매는 연료전지, 리튬-황전지, 공기 전지, 물 분해 수소 생산 등 저장 및 발전에 광범위하게 적용되며, 비싼 백금의 사용량을 획기적으로 줄이는 데 유리하다. 

    연구팀은 광열 효과를 통해 단일원자 촉매의 신규 합성법에도 성공했다. 그래핀 산화물에 멜라민 및 금속염을 동시에 혼합해 빛을 조사하게 되면 단일원자 촉매가 결합한 질소 도핑 그래핀을 합성할 수 있음을 최초로 밝혔다. 백금, 코발트, 니켈 등의 다양한 단일원자 촉매가 고밀도로 결착돼 다양한 촉매 응용 분야에 활용할 수 있다.

    KAIST 최성율 교수와 김일두 교수는 “강한 빛을 소재에 짧게(0.02초 이내) 조사하는 간편한 합성기법을 통해 단일 원소 촉매부터 다성분계 금속 나노입자 촉매의 초고속, 대면적 합성을 가능하게 하는 새로운 촉매 합성 공정 플랫폼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ˮ고 말했다.

    이어 “매우 빠른 승‧하온 속도를 기반으로 기존에 합성하기 어려웠던 고엔트로피 다성분계 촉매 입자를 대기 중 조건에서 균일하게 합성해 고성능 물 분해 촉매로 응용했다는 점에서 매우 의미 있는 연구 결과다. 응용 분야에 따라 촉매 원소의 크기와 조성을 자유롭게 조절해 제작할 수 있는 신개념 광 기반 복합촉매 소재 합성 플랫폼을 구축했다ˮ고 전했다.

    고엔트로피 촉매 제조 관련 연구는 공동 제1 저자인 차준회 박사(KAIST 전기및전자공학부, SK하이닉스 미래기술연구원), 조수호 박사(KAIST 신소재, 나노펩 선임연구원), 김동하 박사(KAIST 신소재, MIT 박사후 연구원, 한양대 ERICA 재료화학공학과 교수 임용)의 주도하에 진행됐으며, 최성율 교수(KAIST 전기및전자공학부), 김일두 교수(KAIST 신소재), 정지원 교수(KAIST 신소재, 울산대 신소재 교수)가 교신저자로 참여했다.

    단일원자 촉매 제조 관련 연구는 공동 제1 저자인 김동하 박사와 차준회 박사의 주도하에 진행됐으며, 김일두 교수, 최성율 교수가 교신저자로 참여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나노 분야의 권위적인 학술지인 `어드밴스드 매트리얼즈(Advanced Materials)' 11월호에 속표지 논문으로 선정됐으며, `에이씨에스 나노(ACS Nano)' 12월호에 속표지 논문으로 출간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