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자체 주도 대학지원체계로 전환…대전형 지산학연 협력 생태계 조성5대 프로젝트 12개 단위과제에 655억 투입…고등교육 혁신·지역 활력 견인
  • ▲ 대전시는 25일 이장우 대전시장과 김정겸 충남대 총장(공동위원장)이 ‘대전시 RISE 위원회’를 개최하고, 지난 3월 공모로 접수된 사업계획서에 대한 평가 결과를 심의·의결했다.ⓒ대전시
    ▲ 대전시는 25일 이장우 대전시장과 김정겸 충남대 총장(공동위원장)이 ‘대전시 RISE 위원회’를 개최하고, 지난 3월 공모로 접수된 사업계획서에 대한 평가 결과를 심의·의결했다.ⓒ대전시
    대전시가 고등교육 혁신과 지역 상생을 이끌 ‘지역혁신중심 대학지원체계(RISE)’ 사업의 수행대학 13개교를 최종 확정하고, 총 655억 원 규모의 사업을 본격 추진한다. 

    지자체가 주도하는 새로운 대학지원체계를 통해 지역산업과 연계한 교육혁신과 지역 활력 제고, 지속 가능한 성장을 이끌겠다는 목표다.

    대전시는 25일 이장우 대전시장과 김정겸 충남대 총장이 공동위원장을 맡은 ‘대전시 RISE 위원회’를 개최하고, 지난 3월 공모로 접수된 사업계획서에 대한 평가 결과를 심의·의결해 수행대학 13개교를 확정했다. 평가 결과에 따라 5대 프로젝트, 12개 단위과제별로 예산이 차등 배분됐으며, 지정 과제인 ‘DSC 공유대학’에는 타당성 평가를 거쳐 11억 8천만 원이 별도 배정됐다.

    선정된 대학은 △건양대학교(메디컬 캠퍼스) △국립한밭대학교 △대덕대학교 △대전과학기술대학교 △대전대학교 △대전보건대학교 △목원대학교 △배재대학교 △우송대학교 △우송정보대학 △을지대학교 △충남대학교 △한남대학교 등이다.

    이들 대학은 출연연, 지역혁신기관, 지역기업, 한국폴리텍Ⅳ대학 등과 협력해 5대 핵심 프로젝트를 수행한다.

    첫 번째 ‘지역선도형 대학교육 특성화’ 프로젝트는 전략산업, 미래 유망분야, 특화산업 인재를 양성해 ‘360도 인재’를 육성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충남대를 포함한 13개교에 154억여 원이 투입된다.

    두 번째 ‘지역정주형 취·창업 활성화’는 지역 내 일자리 창출과 창업 활성화, 정주율 제고를 겨냥한다. 대전대 등 12개교가 참여하며 192억 원이 배정됐다. 지역기업 연계 진로탐색, 창업교육, 로컬창업 육성 등이 포함된다.
  • ▲ ⓒ대전시
    ▲ ⓒ대전시
    세 번째 ‘지속발전형 지산학연 협력 고도화’는 국립한밭대 등 13개교가 참여해 출연연 연계 연구인재 양성, 기술사업화, 대학 인프라 활용 산학협력 등을 통해 177억여 원을 집행한다. 특히 충남대, 국립한밭대, 한남대 등 6개 대학은 RISE 대표과제인 ‘출연연 연구협력’에 참여한다.

    네 번째 ‘생애성장형 직업·평생교육 강화’는 기술 발전과 사회 변화에 대응하는 평생학습 체계 구축을 위한 과제로, 배재대 등 9개교에 51억 원이 배정된다.

    마지막으로, ‘RISE 촉진형 지역현안 해결 및 꿀잼도시 조성’은 외국인 유학생 정주 지원, 리빙랩, 문화예술 콘텐츠 개발 등을 통해 지역 문제 해결과 글로벌 역량 강화를 노린다. 우송대 등 12개교가 참여하며, 69억 원이 투입된다.

    대전시는 사업 성과 관리를 위해 ‘대전형 360도 인재양성 교육혁신지수(D1)’, ‘지산학연 협력지수(D2)’, ‘지역활력지수(D3)’ 등 3대 자율 성과지표를 마련했으며, 2029년까지 이들 지표를 통합한 ‘대전 RISE 생태계지수(D-Triple)’를 구축해 선순환 지역혁신 체계를 정착시킬 계획이다.

    향후 대전시는 각 대학에 선정 결과를 통보하고 이의신청 절차를 거쳐 5월 중 대전RISE센터와 협약을 체결할 예정이다.

    이장우 대전시장은 “올해 초 교육부의 RISE 계획 평가를 통해 124억 원의 국비를 추가 확보하는 성과를 거뒀다”며 “앞으로도 지자체와 대학, 산업계, 연구기관이 수평적으로 협력해 교육혁신과 지역 활력 창출, 그리고 지속 가능한 성장을 함께 이뤄가겠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