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소년부터 노년까지…세대 맞춤 실험으로 지역 문제 해결 나선다‘우리는 짝꿍’, ‘한방살롱’ 등 세대공감·도심 재생 프로젝트 주목
-
- ▲ 커먼즈필드 대전 전경.ⓒ대전사회혁신센터
대전사회혁신센터는 대전 시민들이 지역 문제해결을 위한 실험에 직접 나선다고 밝혔다.17일 센터에 따르면 지난 16일 ‘2025 연령별 문제해결 프로젝트’에 참여할 커뮤니티 17개 팀을 최종 선정했다.이 사업은 시민이 정책의 수혜자가 아닌, 문제해결의 주체로 참여해 커뮤니티 활동을 통해 해법 모색을 위해 마련됐다.올해는 총 38개 팀이 공모에 지원했으며, 공익성, 실현 가능성, 필요성, 확장성 등을 기준으로 심사해 17개 팀이 선정됐다.선정된 커뮤니티는 △청소년 5팀 △청년 6팀 △중장년 3팀 △노년 5팀 △기타 1팀 등이며, 각 세대 특성을 반영한 실험으로 지역사회 변화에 나설 예정이다.눈길을 끄는 팀으로는 온새미 공동체의 ‘우리는 짝꿍’ 프로젝트가 있다. 마을 어르신과 청소년이 짝꿍을 맺고 안부를 주고받는 활동을 통해 세대 간 단절 해소를 시도한다.또 ‘한방살롱 프로젝트’는 원도심 활성화를 주제로, 주민들이 함께 오래된 거리에 새로운 이야기를 입히며 지역 재생을 꾀한다.선정된 팀들은 오는 4월 28일 커먼즈필드 대전에서 열리는 오리엔테이션과 고도화 워크숍을 시작으로 10월까지 6개월간 활동하며, 이 기간 △정기 간담회 3회 △전문가 컨설팅 △7월 중간 보고회 △10월 성과공유회 등 다양한 과정을 거치며 지속적인 성장을 도모할 예정이다.이상호 센터장은 “시민의 일상 속 문제의식에서 출발한 커뮤니티들이 구체적인 실험과 실행을 통해 현실적인 변화를 만들어 가길 기대한다”며 “대전 곳곳에서 시민 주도의 혁신이 확산하도록 적극 지원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