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조5586억 생산유발효과·4만1572명 고용유발효과 예상
  • ▲ 정부는 27일 바이오산업의 국내 거점 역할을 할 대전 국가 바이오 특화단지로 선정해 혁신 신약 R&D 오픈이노베이션 거점을 목표로 조성된다.ⓒ대전시
    ▲ 정부는 27일 바이오산업의 국내 거점 역할을 할 대전 국가 바이오 특화단지로 선정해 혁신 신약 R&D 오픈이노베이션 거점을 목표로 조성된다.ⓒ대전시
    정부는 27일 바이오산업의 국내 거점 역할을 할 대전 국가 바이오 특화단지로 선정해 혁신 신약 R&D 오픈이노베이션 거점을 목표로 조성된다.

    또, 지난 20일 원촌지구는 기회 발전 특구로 지정됨으로 다양한 혜택이 예고됐고, 기업 유치에 청신호가 켜졌다.

    27일 시에 따르면 장호종 경제과학 부시장이 기자회견을 통해 “11개 지자체와 치열한 경쟁 속에 대전이 ‘국가 첨단전략산업 바이오 특화단지’로 선정됨으로써 세계 최고 수준의 글로벌 바이오 혁신 신약 클러스터 도약 발판을 마련했다”고 밝혔다.

    이번 선정은 대전시가 30년간 확보 중인 바이오 인프라가 장점과 지난해 11월부터 TF를 구성해 전략을 잘 짜서 대응한 결과물이다. 

    대전 특화산업단지는 총 4개 단지 891만㎡(약 270만 평)이며, 이미 조성된 2개 단지(신동·둔곡, 대덕테크노밸리)와 신규 조성 예정인 2개 단지(탑립·전민, 원촌첨단바이오메디컬지구) 등이다.

    특화단지에는 산업단지 인프라 지원, 인허가 신속처리 의무화, 사용료·부담금 특례, 세액 공제, 용적률 최대 1.4배 상향, 수출 판로개척, 정부 R&D예산 우선 배정, 예비타당성 조사 특례 등 정부 차원의 지원이 이뤄진다.

    시는 ‘세계 최고 수준의 글로벌 바이오 혁신 신약 클러스터 도약’을 목표로 사고 있으며, 특화단지에는 초격차 기술을 갖고 있는 선도기업 유성 등 세계 박파마를 만들 예정이다.

    ‘혁신 신약’이란 글로벌 블록버스터급 신약으로 연간 매출액이 1조 원이 넘는 신약을 말한다. 우리나라는 아직도 단 1개의 신약도 성공하지 못한 상황으로 국가적 최우선 과제이기도 하다.
  • ▲ 장호종 경제과학 부시장이 기자회견을 통해 “11개 지자체와 치열한 경쟁 속에 대전이 ‘국가 첨단전략산업 바이오 특화단지’로 선정됨으로써 세계 최고 수준의 글로벌 바이오 혁신 신약 클러스터 도약 발판을 마련했다고 밝혔다.ⓒ대전시
    ▲ 장호종 경제과학 부시장이 기자회견을 통해 “11개 지자체와 치열한 경쟁 속에 대전이 ‘국가 첨단전략산업 바이오 특화단지’로 선정됨으로써 세계 최고 수준의 글로벌 바이오 혁신 신약 클러스터 도약 발판을 마련했다고 밝혔다.ⓒ대전시
    대전시는 4대 치료제 분야(단백질·유전자·세포·재생 치료제)에서 세계적 수준의 기술력을 갖고 있는 만큼 산업을 집중적으로 육성해 2032년까지 2개의 혁신 신약 창출 목표를 정부에 제시했다.

    특화단지로 지정되면 리가 켐바이오 사이언스, 알테오젠, 머크 등 총 51개 기업이 9조 원 규모의 시설 및 연구개발 투자를 하겠다고 이미 의향을 밝힌 만큼 신약 개발의 꿈이 현실로 실현될 가능성은 높아졌다.

    4개 지구 특화단지에는 인프라, 인력, 기업, 연구개발 등 혁신자원이 집적될 예정이다. 대전 바이오 창업원’과‘혁신 디지털의과학원 외앵커시설인 대전혁신 신약 전략지원 운영센터와 KAIST-Merck 공동 신약 연구·개발연구소 등이 들어설 전망이다.

    시는 경제과학부시장을 단장으로 ‘특화단지 추진단’을 구성해 산·학·연·병이 참여하는 ‘특화단지 운영위원회’를 자문·심의기구로 설치하는 등 특화단지 운영체계를 마련할 예정이다.

    대전 혁신신약 특화단지를 기반으로 국가 바이오의약품 밸류체인을 완성하고 첨단전략산업의 국가경쟁력을 강화해국토의 균형발전에 이바지한다는 계획이다.

    이를 위해 정부 부처와 긴밀히 협의해연구개발 등 관련 예산을 최대한 끌어낸다는 방침이다.

    장호종 경제과학 부시장은 “이번 특화단지 선정은 대전시와 KAIST, 대전테크노파크로 구성된 전략사업연구센터의 협업 모범사례”이라며 “대전시의 확고한 육성 의지와 혁신 신약에 대한 비전이 성공 요인이었고, 특화단지 성공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시는 이번 특화단지 지정으로 6조5586억 원의 생산유발효과와 4만1572명의 고용유발효과가 예상된다며 지역경제 활성화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전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