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KTX세종역 신설과 관련한 충청권 지자체들 간의 갈등이 일단 수면 아래로 가라앉게 됐다.
지난 29일 이춘희 세종시장이 ‘민선 7기 공약과제 보고대회’에서 KTX세종역 신설을 2022년께 추진하는 장기 과제로 분류하면서 사실상 사업 포기 수준의 의지를 보였기 때문이다
이날 이 시장은 장기과제(2022년 7월)로 ‘KTX세종역 신설을 위한 예비타당성 대상 사업 선정 추진’ 및 ‘서울~세종 고속도로 조기 완공’ 등 광역교통망 구축 등을 함께 포함시켰다.
사실상 포기인 셈으로 받아들이는 분위기다.
이날 이 시장의 발표로 KTX세종역 신설과 관련한 인근 충북 및 충남과의 갈등은 비켜가게 됐다.
그동안 충북과 충남은 모두 KTX세종역이 설치될 경우 충청권 상생에 역행한다며 반대해 왔다.
충북은 KTX오송역이 세종시의 관문역이자 국가X축 고속철도망의 중심으로서 역할을 다해야 한다고 주장해 왔다.
KTX세종역이 설치될 경우 이격 거리가 22㎞에 불과해 한국철도시설공단이 요구하는 최소한의 이격거리 46㎞의 절반에 안 돼 KTX오송역 활성화에 찬물을 끼얹을 수 있다고 우려했다.
충남도 KTX공주역과 22㎞ 밖에 떨어져 있지 않아 공주시 발전에 역행할 수 있다며 반대해 왔다.
이 시장이 이러한 주변 두 자치단체의 반대에 갑자기 KTX세종역 신설을 접은 것은 이해찬 더불어민주당 대표의 영향력 때문 아니냐는 분석이다
이 대표도 최근까지 민주당 각종 모임에서 KTX세종역 설치를 강하게 주장해 왔다.
이달 초 열린 민주당 대전시당 대의원 대회와 대전MBC 초청 후보자 토론회에서도 이 대표는 “KTX세종역 강하게 추진하겠다”며 “예비타당성조사 대상의 지역적 범위도 세종시뿐만 아니라 대전시 유성구를 포함해 추진하겠다”고 의지를 보였다.
이러한 세종시의 주장이 민주당 전당대회에서 이 대표가 선출되면서 크게 후퇴한 것이다.
당 대표가 돼서도 자기 지역구 챙기기에 몰두하는 이미지를 보이게 되면 당내는 물론 야당의 집중적인 공격에 직면하게 될 것이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민주당은 지금 최저임금과 경제정책 실패라는 당 안팎의 비난을 받고 있다. 특히, 비난의 화살은 청와대까지 이어져 문재인 대통령은 취임 후 최저 수준의 지지율을 보이고 있다.이런 상황에서 KTX세종역 신설을 두고 충청권에서마저 민주당에 등을 돌리는 분위기가 형성되면 이 대표로서는 감내하기 힘든 상황이 올 수 있다.
문재인 대통령과 호흡을 맞춰 경제 위기뿐만 아니라 북한 핵 위기 이후 지속되는 남북관계 개선에도 나서야 하는 상황에서 이는 ‘빈대 잡으려 초가삼간을 태우는 격’이 될 수 있다.
이 대표가 이를 고집해 오래 끌면 끌수록 당과 청와대 정부에 부담을 주는 겪이 되는 셈이다.
여기에 이 대표는 스스로 다음번 총선에 출마하지 않겠다고 밝힌 바 있어 실현 가능성도 없는 상황이다.
이제 18개월이 남은 셈이어서 자신의 당 대표 임기 내에는 불가능한 수준이다.
이 시장 입장에서도 이 대표가 정계를 떠나면 추력을 잃게 돼 KTX세종역 설치는 고스란히 본인의 부담으로 돌아온다.
혼자서 KTX세종역 설치를 끌어안고 갈 수는 없다. 세종시 공무원이 다 나서서 표를 몰아줘도 불가능한 상황이 닥칠 수 있다.
표를 몰아줬는데도 해결하지 못한다면 다음 단계는 버림받는 수순이다.
KTX세종역 설치는 특히, 문 대통령이 후보시절 “충청권 4개 시도가 합의하지 않으면 추진하지 않겠다”고 공약한 사업이어서 이는 이해찬 대표나 이춘희 시장 모두에게 부담이다.
당 대표가 돼서도 이를 고집한다면 문재인 대통령에 대한 도전이다. 2년 후 떠나겠다고 한 이해찬 대표는 그렇다쳐도 이춘희 시장은 아직 더 살아남아야 한다.
2년 뒤에는 총선에 나갈지도 결정해야 한다. 발목이 잡힐 수 있는 악재가 될 수 있다.
안 되는 일을 갖고 끌어안고 있느니 보다 놔주는 것이 사는 방법일 수 있다.
당장은 충북·남도 입장에서는 악재 하나가 해결된 셈이지만 4년은 먼 시간이 아니고 상황은 얼마든 변할 수 있다. 또한 스스로는 KTX오송역과 KTX공주역을 활성화시켜야 한다는 과제를 안게 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