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권의 허리’ 충청표심 향방은? 文정권 초반…與 프리미엄 이번엔?3개 시·도와 맞닿은 세종시가 변수
  • ▲ ⓒ자유한국당, 더불어민주당
    ▲ ⓒ자유한국당, 더불어민주당

    다가오는 6·13 지방선거가 13일 예비후보자 등록을 시작으로 대장정의 막이 올랐다.

    역대 총·대선 및 지선에서 전체 승패를 갈랐던 ‘캐스팅보트’ 중원 충청권의 패권(覇權)은 과연 어느 당이 거머쥐게 될까. ‘충청대첩’의 3대 관전포인트를 낱낱이 살펴본다.

    먼저 충청권 광역단체 4곳의 승패가 주목된다.

    더불어민주당과 자유한국당이 치열한 ‘샅바싸움’을 벌이고 있는 가운데 제3지대의 바른미래당 등이 세몰이에 나선 형국이다. 민주당은 수성(守城)에 나섰고 한국당 등은 판 뒤집기를 노리고 있다. 민주당은 앞서  2014년 6회 지방선거 당시 충북, 대전, 충남, 세종 등 4곳 모두를 석권하는 기염을 토한 바 있다.

    민주당과 한국당은 지선이후 문재인 정권의 국정운영 등에 충청권 광역단체장 선거 결과가 적잖은 영향을 미칠 것이란 이유에서 ‘충청대첩’에 사활을 걸고 있다.

    양당 모두 기존의 지지기반에다가 ‘정치권의 허리’로 불리는 충청권까지 석권해야 정치적으로 활로가 트인다는 공통된 인식을 하고 있다. 즉, 민주당은 전통적 지지기반인 수도권과 호남권을 넘어서야 국정운영에 탄력을 받게 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반면 한국당은 영남권 플러스 충청권을 이뤄야 19대 대선패배 이후 침체된 당을 재건하는데 속도를 붙일 수 있다는 정치적 셈법을 하고 있다. 

    국토의 중심 충청권을 두고 여야가 벌일 일전(一戰)이 첫 번째 관전포인트로 보인다.

    여당 프리미엄이 판에 적용될지 지켜 볼 대목이다.

    그동안 정권 초반기에 치러진 역대 지선은 대체적으로 여당의 승리로 돌아갔다. 그러나 충청권은 타권역과 완전히 다른 표심을 나타낸 바 있다.

    단적으로 직전 지선인 2014년 6회 선거 때 제1야당 민주당은 충청권 광역단체장 4곳을 모두 이겼다.

    지역 정치권의 한 관계자는 “6회 광역단체장 선거에서 야당(9곳)이 여당(8곳)에 비해 1곳을 더 차지했다”며 “야당이 충청권 4곳을 휩쓴 것이 승리의 발판이었다”고 평했다.

    6회가 박근혜 정권 출범후 약 1년3개월 만에 실시된, 즉 초반기 지방선거이었음에도 당시 민주당이 4곳을 모두 휩쓴 점은 충청권에선 여당 프리미엄이 통하지 않을 수도 있다는 것을 시사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마지막 관전포인트는 한국당이 충청권의 상징 격인 세종시와 관련해 어떤 헌법개정안을 내놓느냐다.

    한국당은 9일 자체 개헌안 마련에 착수해 이달 중으로 안을 내놓을 예정이다. 최근 민주당은 헌법에 세종시 행정수도를 명문화하는 것을 골자로 한 개헌안 등을 내놨다. 만일 한국당이 개헌안에 세종시 행정수도를 포함하지 않을 경우 충청권 지선을 가를 최대변수로 작용할 가능성이 커 보인다.

    충청권에서 세종시는 정치적으로, 또 지리적으로 매우 특수한 곳이기 때문이다.

    세종시는 동쪽은 충북, 서쪽은 충남, 남쪽은 대전, 북쪽은 충남과 각각 맞닿아 있을 뿐만 아니라 정치적으로도 깊은 연관성을 맺고 있다.

    세종시가 2012년 7월 출범하게 된 뒷배경으로는 충북, 대전, 충남의 철벽공조가 단연 손꼽힌다.

    이명박 정부 당시 세종시 수정안이 나오는 등 세종시 탄생이 미궁에 빠졌을 때 3개 시·도가 분연히 일어나 원안 관철을 끌어낸 바 있다. 3개 시·도가 세종시를 둘러싼 여러 이해관계에 민감한 이유다.  

    세종시 개헌안이 아직은 수면아래 있지만 한국당의 선택에 따라 지방선거판을 뒤흔들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을 것으로 전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