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대위 구성·학생 고소고발 철회·주요보직 교수해임 등 후폭풍
  • ▲ 한국교통대 본부.ⓒ한국교통대
    ▲ 한국교통대 본부.ⓒ한국교통대

    한국교통대학교 교수회가 대학지원 사업인 프라임사업(산업연계교육 활성화 선도대학)탈락과 관련해 김영호 총장의 사과와 교수(증평캠퍼스) 징계 철회 등을 요구하고 나섰다.

    교통대 교수회는 지난 10일 긴급평의원회의를 열고 프라임사업 탈락 책임이 총장에게 있다며 사과를 요구해 후폭풍이 예상된다.

    교수회는 △프라임사업에 적극적으로 참여했던 주요 보직교수(학생·교무·기획처장)해임을 요구했다.

    이어 △비상대책위원회 구성 △총장실 점거농성을 벌인 학생 고소·고발 취하 △증평캠퍼스 교수(3명)징계 철회 △진정성 있는 총장의 사과 등 5가지를 요구했다.

    이 같은 교수회의 요구는 프라임사업 과정에서 대학 구성원들에게 큰소리치며 공언했던 언행에 대해 책임 있는 행동을 보이라는 것으로 해석된다.

    교통대는 지난해 8월 대학구조개혁 평가에서 내년까지 정원의 10% 감축 대상에 포함됐다.

    이어 국내 대학 설립 이후 최대 지원사업인 프라임사업, SK사업, 링크사업 등에서 모두 탈락했다. 313명으로 구성된 한국교통대 교수회는 이달 24일까지 5가지 요구안이 관철되지 않을 경우 집단행동에 들어갈 것으로 예상된다.

    교수회 관계자는 “이번 사안만큼은 대충 넘어갈 수 없는 일”이라고 밝혀 김 총장과 교수 간 파문도 예상된다.

    ‘프라임사업은 대학의 체질을 사회변화와 산업 수요에 맞게 개선해 인력 미스매치를 해소하고 중장기 인력수급 전망을 토대로 학사구조를 개편해 정원을 조정하는 대학에 재정을 지원해주는 대학구조개혁 사업이다.

    이 사업은 △사회수요 선도대학(연간 150억 정도 3년간 지원) △창조기반 선도대학(연간 50억 정도 3년간 지원)으로 나눠 재정을 지원하는 등 3년간 모두 6000억원의  예산을 집중 지원한다.

    교육부는 지난 3일 전국에서 21개 대학을 선정·발표했다.

    같은 날 김영호 한국교통대 총장은 산업연계교육 활성화 선도대학(프라임)사업 탈락과 관련해 내부통신망을 통해 입장을 발표했었다.

    김 총장은 “교통대가 이번 프라임 대형 사업에 선정되지 못한 것에 경위와 관계없이 화가 나고 억울하다”는 심경과 함께 “대학 유사 이래 정부재정지원 사업을 위해 가장 많은 에너지를 투입했는데 인정받지 못해 가슴이 아프다”고 토로했다.

    이어 그는 “교통대는 다른 국립대학이 감히 시도할 수 없는 대담한 구조개혁안을 제시, 본선에 진출했음에도 사립대학과 동일한 잣대로 평가되는 상황을 극복하지 못해 매우 아쉬운 일”이라고 직원들에게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