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시 의료·복지·보육 등 종합 지원 필요
  • ▲ 김현미 세종시의원.ⓒ세종시의회
    ▲ 김현미 세종시의원.ⓒ세종시의회
    세종시의회 김현미 의원이 암 생존자 지원을 위한 지역사회 기반 '세종형 암 애프터케어' 정책 마련을 촉구했다. 

    김 의원은 4일 열린 세종시의회 임시회 1차 본회의 5분 자유발언에서 "암은 개인의 문제가 아닌 사회적 과제로 인식해야 한다"며 "암 환자와 생존자의 사회 복귀, 임신·출산, 자녀 돌봄 지원 등을 위한 체계적인 정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보건복지부와 중앙암등록본부 통계에 따르면 2023년 기준 국내 암 유병자는 258만8079명으로, 국민 20명 중 1명이 암을 앓고 있다. 

    65세 이상에서는 7명 중 1명이 암 유병자인 것으로 나타났다. 세종시 역시 암으로 인한 사망률이 높은 상황이다. 

    김 의원은 "현재 세종시는 전국 17개 광역시도 중 유일하게 암 센터가 없는 상황으로, 대전권역 암생존자통합지지센터를 활용할 수 있도록 시 차원의 지원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암 환자의 가임력 보전 및 암 생존자 보육 지원 강화도 제안했다. 

    항암 치료로 인해 임신이 어려운 환자들을 위해 '모자보건법'에 따른 조례를 제정하고, 암 생존자 가정의 영유아가 국공립 어린이집에 우선 입소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와 함께 김 의원은 암 생존자의 사회 복귀를 위한 의료·보건·복지·스포츠 등 공공정책 연계해 청년 암 생존자 취업 지원, 노인 건강관리 등 연령별 맞춤형 지원 정책 마련을 촉구했다. 

    그러면서 "암 치료 이후 경제적 어려움과 경력 단절을 겪는 생존자가 70% 이상"이라며 "세종시가 선도적으로 암 생존자 지원 정책을 수립해 지역사회 내 탄탄한 지원 체계를 마련해야 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