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4일자 신문에는 ‘D램·낸드 가격 10월 4%대 추락…수출 ’최후보루‘ 반도체 무너지나’라는 반도체 경기 하강우려 기사가 대한민국 경제의 위기감을 대변하고 있다.
지난 10월 D램·낸드 가격은 각각 4.9%, 4.3%로 떨어졌기 때문이다.
반도체시장 조사기관이 지난 9월 ‘4분기 D랜 가격이 3분기 보다 5% 이상 하락할 수 있다’는 전망을 내놓을 때만 하도라도 “설마 그렇게 되겠느냐”는 업계의 반응이었다.
최근에는 삼성과 SK하이닉스는 중국의 강력한 추격에도 기술력으로 극복할 수 있다는 자신감을 내비치기도 했다.
신문들은 반도체 가격 하락요인은 수요가 줄고 구글‧아마존‧페이스북 등 서버용 D램을 대량 구매업체들의 구매량 감소, 그리고 미국과 중국의 무역전쟁으로 인한 중국 IT업체들의 메모리 반도체 수요가 줄어든 것이 원인이라고 분석했다.
반도체는 대한민국 효자 수출 상품이다. 한국 수출 4분의1, 충북 수출 40%를 차지하는 반도체 수출이 D램·낸드 가격 하락하면 국가와 지역에 직격탄이 된다.
특히 충북 청주에 9000여 명이 근무하고 있는 SK하이닉스 청주공장이 가동되고 있고 지난 10월 4일에는 M15청주공장 준공식을 갖고 본격적인 가동을 앞두고 있어 반도체 가격 하락의 충격파는 커질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한편 청주테크노폴리스 내 연면적 48만4265㎡(14만 6000평), 아파트 30층 높이로 건립된 SK하이닉스 청주 M15공장은 완전 가동시 고용유발효과 21만8000명, 생산유발 효과 70조 9000억 원을 창출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다음은 14일자 충청권 신문 등의 헤드라인 뉴스다.
◇조선일보
-MB 때 시작한 ‘노벨상 프로젝트’ 연구비 대폭 깎이며 7년만에 위기
해외석학까지 모셔온 기초과학硏, 연구단별 예산 평균 35% 삭감
여권 “애초 할 필요가 없던 사업”-‘촛불 권력’ 민노총, 시장실·與사무실·대검까지 무차별 난입
검찰청 내부 연좌농성, 밖에선 100여명이 텐트 10개 치고 시위
비정규직을 대거 조합원으로 끌어들인 후, 장소 불문하고 점령-일본팬 5만여명 도쿄돔서 “BTS! BTS!”… 反韓시위는 단 2명
日매체 ‘방탄 때리기’에도… 팬들은 공연 전부터 인증샷 남기고, 한국어로 노래 떼창◇중앙일보
-韓 “약속없어” 美 “포함사항”···北 미사일 폐기 해석 달랐다
북한 탄도미사일 폐기 약속 놓고
청와대 “북 어떤 협정도 안 맺어”
미국 “김정은 약속에 포함된 것”
외교부선 “언급하지 않겠다”-‘북한이 먼저다?’ 이선권에 뿔난 국민 뒤서 김정은 챙기기 바쁜 정부
특권층과 군부에 빼돌려진 감귤
특권층에 빼돌려 중단된 감귤 지원
10년 만에 200t 군용기 실려 평양행‘목구멍’ 망언으로 여론 들끓는데
청와대 비밀리 감귤 대북수송 채비혈세 투입 대북지원 국민여론 중요
‘깜짝쇼’ 보다는 공감대 확산 챙겨야-균형발전 내세운 세종시 6년 … 수도권 인구가 더 늘었다
세종 31만, 수도권은 72만 증가
전문가 “교육·일자리 수도권 남아
인구 분산, 균형발전 등 효과 미미”
세종시는 충청 인구 흡입 블랙홀로
국회 분원도 2년 넘게 ‘지지부진’-[내 돈 어디가]③생활SOC에 당신 돈 21만원…그게 뭐죠?
◇동아일보
-친트럼프 매체도 “김정은에 속았다”… 美야당 “北과 대화 말라”
[北 미사일 기지 활동 파장]CSIS 보고서에 들끓는 워싱턴-“北, 기지 폐기 약속한적 없다” 김의겸 靑대변인 발언 논란
[北 미사일 기지 활동 파장]南 겨냥한 미사일 기지에도 ‘北 두둔’
美 입장과도 달라 불협화음 우려-논산 여교사 “임신하면 어떡해”…제자와 주고 받은 문자메시지 ‘충격적’
◇한겨레신문
-삼성바이오 분식회계 의혹 내부문건, 증선위 수용 여부가 핵심
삼성바이오 분식회계 여부 14일 결론
금감원이 ‘고의 분식’ 판단한
삼바 에피스 관계회사 변경
기업가치 부풀릴 의도였는지 결론
2012~2014년 삼바 회계처리도
비정상적이었는지 함께 판단-이중근 부영 회장 ‘봐주기’ 판결?…실형에도 법정구속 안해
523억원 횡령·배임 유죄…법원, 징역 5년 선고
“방어권 충분히 보장 필요” 법정구속 안시켜 이례적-경찰 ‘대검찰청 로비 점거농성’ 민주노총 노조원 6명 체포
돌발 점거농성하며 퇴거통보에 불응…노조원 130명 청사 밖서 철야농성◇한국경제
-이재명式 청년복지, 국민연금에 ‘50兆 폭탄’
가뜩이나 기금고갈 우려 큰데…
경기도, 18세 청년 16만명에 첫달 보험료 내주는 공약 강행
“국민연금 가입기간 10년 늘려 7800만원씩 더 받게하겠다”
협의 요청 받은 복지부 ‘난감’-현대차 주가·실적 10년 前으로…이 와중에 美 ‘관세폭탄’ 현실화 우려
벼랑 끝 몰린 한국 자동차산업완성차업계 끝 모를 부진
현대차 주가 장중 10만원 붕괴
기아차·쌍용차도 실적 추락트럼프, 통상팀과 관세 논의 시작
협력사는 법정관리 신청 속출
최종구 “은행들 여신 회수보다
기업 선별해 적극 지원해야”-D램·낸드 가격 10월 4%대 추락…수출 ‘최후보루’ 반도체 무너지나
커지는 반도체 경기 하강 우려서버용 D램 수요 줄고 무역전쟁 여파…반도체 가격 ‘뚝’
낸드플래시 4개월새 15.4%↓…내년 부진 전망도 잇따라
‘믿었던 효자’ 반도체 사이클 꺾이며 경기하강 위기 증폭◇충북일보
-음식물쓰레기 1만1천t 방치 ‘구린내 진동’
A업체, 13곳 중 11곳 반출… 9천여t 달해
적치장소 지역민 “침출수로 물고기 떼죽음”
주민 반발에 쓰레기 위 성토 ‘형식적 조치’
14일 박덕흠 의원실·환경부 등 현장 방문-“레미콘공장 반대” 공익인가 님비인가
청주 가덕면 주민 대책위
“분진 피해 불허처분 정당”
행심 청구까지 기각 촉구
집단민원 ‘기업 발목’ 시각도
도심 공장서도 피해사례 없어-청주 시내버스 노조 ‘환승 거부 예고’ 파문
4개 업체 21일부터 중단
내달 추가요금 징수 공문
市 “강행 땐 엄중 대처”◇충청타임즈
-청주지역 ‘깡통전세’ 속출
아파트값 3년째 하락 … 집주인은 보증금 반환 ‘난망’
10월 기준 전세가 1억2606만원 … 2년전比 1.2% ↑
미분양률 15.7% … 공급과잉 현상 해소 기미 안보여-줄줄이 오르는 공공요금 서민가계 주름 깊어진다
충북 버스·택시요금 인상 추진 … 쌀값도 27% ↑
道 도정조정위·물가관리위 심의 거쳐 결정 방침
일부 지자체 내년부터 상수도 요금 인상 예고도-세종시, 세종역 예타 면제 신청 충북범비대위 철회 촉구
-초·중·고 실명 감사결과 공개 한달 연기
충북교육청 전국 17개 시도교육청 감사관協서 협의
분량 방대·문서화 무리 탓 … 수능일 겹쳐 부담 추측도◇충청투데이
-악재 반복…충청권 자동차 부품업계 한숨 커졌다
한국GM철수, 국산차 물량 감소…충청권 1750여社 매출 하락으로
업체 도산 우려↑ 일자리는 줄어, “정부가 해외시장진출 이끌어야”-정치권·민간 ‘세종역 반대’ 머리 맞댄다
도·청주시의회 특위와 대책위
14일 합동토론회 … 대응안 논의-세종 자치경찰 내년 시범운영 2022년 완료
도입안 발표…내년 하반기부터 시범운영
이달 내 정부안 확정…내년 상반기 입법◇대전일보
-광역의회 의정비 인상에 지역여론 양분
세종시의회 의정비 인상 움직임 등-정치권 급랭…야권, 국회일정 보이콧 검토
-대전시 미세먼지 차단 숲 조성…미세먼지 저감대책
대전산단 주변 2만㎡에 나무 5000그루 식재◇중도일보
-與野, ‘강대강’ 대치 충청현안 관철 ‘빨간불’
조명래 임명 등 ‘뇌관’ 정국급랭…법안심사, 예산심의 직격탄 예고
국회세종의사당, 대전충남 혁신도시 추가지정 유탄맞나-대전어린이재활병원 사업비 2배로…정부 추가 지원 절실
당초 156억원 규모서 347억원으로 증가 예상
복지부 “기재부 통해 정한 것… 증액 어렵다”-검찰, 김소연 폭로 선거자금 요구사건 이르면 내주 초 ‘기소’
구속된 자원봉사자, 전 대전시의원 구속 만기 21일
검찰, 20일께 기소 예정…서구의회 의원도 기소 방침
구청장 후보 당선 선거개입 소문 사실과 다르다 일축-‘경찰 정보 무단 제공’ 대전 동부서 경찰관 구속기소
◇중부매일
-[르포] 김장철 출하 한창 배추농장 가보니…
마트 한포기 3천원… 지역농가 수익은 ‘300원’
“5천 포기 1년 농사 지어도 100만원 벌기 어려워”-‘청주시청사’ 건립사업 어떻게 되나
본관 존치 가닥… ‘산 넘어 산’
청주병원 등 지주들과 효율적 협상
한범덕 시장 “시민들 원하는 청사 건립 최선”-민생치안 강화 자치경찰제 도입
자치분과위, 내년 세종 등 5개 지역 2022년까지 4만3천명 전환
국가경찰과 협력 ·경쟁 기대… 시·도지사 과도한 권한 우려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