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토지주택공사(LH) 청년전세임대주택제도가 청년의 주거난을 제대로 해소하지 못하고 오히려 부담감을 가중시키고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이후삼 의원(더불어민주당‧제천단양)은 11일 “LH로부터 제출받은 ‘청년전세임대주택 계약안내 통보 대비 계약률 ’자료를 분석한 결과, 최근 5년간(2014년~2018년 7월) LH에서 청년전세임대주택 입주 대상자를 선정해 통보한 건수는 5만 4893건이지만 실제 계약에 성공한 건수는 2만 8465건(51.9%)에 불과한 것으로 드러났다”고 밝혔다.
이 의원실에 따르면 계약안내 통보 대비 계약률은 2016년이 46.6%로 가장 낮았고 2017년에는 50%만이 계약에 성공했다. 이어 2014년과 2015년의 계약률이 각각 58.3%, 55.0%인 것을 고려하면 과거보다도 더 상황이 악화된 것으로 보인다.
2016년 LH는 입주 대상자 계약안내 통보를 8944건에서 1만 7455건으로 이전에 비해 대폭 늘렸다. 배정된 예산 또한 2100억 원에서 5800억 원으로 두 배 이상 증가한 것으로 드러났다.
하지만 계약률은 46.6%로 하락했고, 예산 집행률은 75%대에 머물렀으며 2017년 배정된 5300억 원의 예산 중 실제 집행액은 4500억 원(85%)으로 확인됐다.
이 의원은 “임대인과 부동산 업계에서 그다지 환영받지 못한다는 것이 낮은 계약률의 주요 원인 중 하나이고 까다롭고 부담되는 LH 청년전세임대 계약과정을 임대인이 감내해야 할 이유가 없다”며 제도개선 등을 촉구했다.
2016년에 임대인들이 부담스러워 한 선순위 임차보증금 확인서를 중개대상물 확인‧설명서로 변경하고, 올해 초 국토교통부가 장기전세계약을 맺는 집주인에게 집 수리비를 금융지원해주는 등의 대안을 제시했지만 계약률을 높이는 데에 별다른 효과가 없는 것으로 분석되면서 유명무실한 제도라는 비판이 커지고 있다고 이 의원은 전했다.
이 의원은 “청년 10가구 중 3가구가 주거 빈곤상태인 지금, 청년주거에 대한 정부의 실질적인 대책마련이 필요하다”며 “매물이 없는데 입주대상자를 무작정 늘리는 것은 현장을 제대로 파악하지 못한 탁상행정이며 내실 있는 예산 집행이 필요하다”고 비판했다.
이어 “주택물색, 계약 등 복잡한 과정들을 청년 개인에게 맡기는 시스템이다 보니 집주인과 LH 사이에서 청년들은 지칠 수밖에 없다”며 지적했다.
이 의원은 “청년을 위해야 할 청년전세임대주택제도가 그들에게 또 다른 부담을 주고 있는 것은 아닌지 고민해보아야 한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