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충북교육청이 지난해 운영한 행복씨앗학교가 학생과 교사, 학부모 모두가 만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도교육청은 29일 행복씨앗학교와 준비교 교원, 도내 초‧중‧고 교원 중 희망한 사람, 도교육청·지역교육지원청‧직속기관 교육전문직원, 도의회 교육위원회 의원 등 2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2017년 행복씨앗학교 성과분석 연구 최종 보고회’를 가졌다.
이날 보고회는 한국교육개발원 박성호 연구책임원의 성과 분석 보고서 발표와 한국교원대학교 장수명 교수의 제언, 그리고 참석자들의 질의응답으로 순으로 진행됐다.
한국교육개발원이 행복씨앗학교의 성과를 분석한 주요 결과는 교육활동 측면에서 1차년도(2015학년도)에 비해 3차년도(2017학년도)에 학생 중심 수업, 수행평가와 일상적 학습활동에 기반한 평가가 증가했다.
이어 교사활동과 교직풍토 측면에서는 비교학교에 비해 동료교사와의 교류·연수 활동 비중, 수업 개선 노력의 증가폭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 구성원 간 목표 공유 등 교직 풍토 역시 많은 부분에서 민주적으로 변화했다.
또한 학부모 참여와 기대 측면에서는 행복씨앗학교와 비교학교 모두 학교교육과정 설명회나 학부모회 참석 등 전반적인 참여 수준은 낮았으나 행복씨앗학교에서 보다 다양한 소통채널을 두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초등학교에서도 1차년도에 비해 3차년도에 학부모의 만족도가 높았다.
학생들의 교육적 성장을 살펴보면 인지적 측면(문제해결능력, 국어, 수학 성취에 대한 자기보고)에서는 초등학교는 비교학교보다 학업적 측면에서 스스로 성장하고 있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정의적 측면(학업적 자기효능감)에서는 초등학교와 중학교 모두 비교학교에 비해 긍정적으로 성장하였고, 사회적 역량(협동‧협업)은 초등학교에서만 비교학교보다 더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들은 행복씨앗학교의 성공요인으로 학생 참여, 배움 중심 교육의 시행, 학교공동체 구성원 간 민주적 학교문화 정착을 언급했다.
장애요인으로는 행복씨앗학교 운영으로 인한 행정업무 가중, 교사 집단 내, 교사 집단과 관리자 집단 간 비전 비공유로 인한 갈등, 혁신학교 성과에 대한 지역사회의 공감 부족 등을 들었다.
김덕환 기획관은 “이번 보고회에서 혁신학교교육을 경험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학생, 학부모, 교사의 변화와 성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며 “향후에도 혁신학교 정책이 안착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한국교육개발원은 2015년에 지정된 행복씨앗학교 10개교의 학생, 학부모, 교사를 대상으로 2015년 기초조사와 2017년 추수조사를 진행했다.
이후 학생들의 교육적 성과를 분석하기 위해 동일한 학생들을 반복 조사하는 패널 조사를 진행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