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당…청주 흥덕·청원구만 2위 기록, 조직력 한계 극복 최대 과제
  • ▲ 제19대 대통령으로 당선된 더불어민주당 문재인 후보가 지난 8일 충북 청주터미널 인근에서 유세를 펼치고 있다.ⓒ김종혁 기자
    ▲ 제19대 대통령으로 당선된 더불어민주당 문재인 후보가 지난 8일 충북 청주터미널 인근에서 유세를 펼치고 있다.ⓒ김종혁 기자

    제19대 대통령선거가 더불어민주당의 압승으로 끝이 난 가운데 자유한국당은 선방을 국민의당은 최악의 결과를 낳았다는 평이다.

    이번 대선에서 충북은 130만3688명의 선거인중 97만5441명이 투표에 참여해 74.8%의 투표율로 전국평균 77.2%보다 다소 낮게 나타났다.

    개표 결과 문재인 후보가 37만4806표를 얻어 38.61%의 지지율로 대통령에 당선 됐으며 홍준표 후보가 25만5502표 26.32%로 2위, 안철수 후보가 21만1454표 21.78%를 얻어 3위를 기록했다.

    이외에 심상정 후보는 6만5095표로 6.7%의 득표를 올려 4위를, 유승민 후보는 5만7282표로 5.90%를 얻어 5위로 마감했다.

    특이한 점은 청주 청원구에서 문 후보가 43.94%를 얻는 등 도내 대부분 지역에서 문재인 후보가 고루 앞선 반면 단양, 영동, 보은, 괴산 등 4곳에서는 홍준표 후보가 1위를 차지했다.

    유세 마지막 날까지 청주를 방문하며 선전한 안철수 후보는 청주 흥덕구와 청원구에서 2위를 기록했고 나머지 지역에서는 모두 홍준표 후보에 밀려 3위에 머물렀다.

    이 같은 결과에 대해 민주당의 압승은 ‘문재인 대세론’의 영향이 크다는 분석이다.

    앞서 반기문 전 유엔사무총장이 ‘충청대망론’을 앞세울 때만 해도 도내에서 민주당의 압승은 쉽지 않아 보였다. 그러나 반 총장의 낙마와 문 후보의 경선 확정 후부터 민주당의 견고한 조직력과 지지 세력은 곧바로 자리를 잡았다는 평이다.

    도종환 도당위원장을 비롯한 지역 당원·당직자의 저인망식 선거 유세는 물론 마지막 유세에서 충주와 청주를 잇따라 방문한 문 후보의 유세 계획도 들어 맞았다는 여론이다.

    또한 노영민 전 의원이 중앙당 조직을 관리하며 최 측근에서 뛴 점도 지역 유권자들의 마음을 움직이는데 일조한 것으로 내다보인다.

    민주당 충북도당 관계자는 대선 압승 후 논평에서 “이번 선택은 어려운 민생경제를 살리고 충북을 발전시키라는 도민의 준엄한 명령”이라며 “충북발전의 공약들이 성실히 이행되도록 적극 뒷받침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한국당은 홍준표 후보가 25만5502표를 얻어 26.32%로 2위를 기록한데 대해 비교적 선방했다는 입장이다.

    선거 초기에는 민주당의 대세론과 국민의당 안철수 후보의 ‘녹색바람’에 밀려 2위 수성도 쉽지 않아 보였다.

    그러나 이승훈 청주시장과 조길형 충주시장을 비롯해 도내 대부분의 자치단체장이 한국당 소속이고 충북도의회와 청주시의회를 비롯한 대다수의 지방의회를 석권하고 있을 만큼 조직력이 튼튼하다.

    도·시의원들이 지역구에서 손발로 맺어 놓은 표를 무시할 수 없다는 반증이다.

    한국당의 한 도의원은 “어려움이 많은 선거였다. 무엇하나 떳떳하게 내세우기 힘든 상황에서 지역주민들의 손을 잡고 호소한 결과 2위에 오른 것 같다”며 어려움을 토로했다.

    국민의당은 안철수 후보가 21만1454표를 얻어 21.78%로 3위에 그친 결과를 인정하면서도 충격에 휩싸인 모습이다.

    그동안 안철수 후보의 청주 방문에서 보여준 시민들의 뜨거운 반응과 도내 14개 연락소를 갖추고 유세에 뛰어들었으며 임헌경 도의원을 비롯한 몇몇 시의원들의 입당으로 한층 고무돼 있었다.

    그러나 결국 전국적인 바람을 거스르지는 못했다. 내심 충북에서만이라도 이길 수 있다고 믿었겠지만 지역 내 약한 조직력의 결과는 냉정했다.

    국민의당 관계자는 “미래 정치에 소중한 주권을 행사해 주신 충북도민 여러분께 진심으로 감사드린다”며 “‘안철수, 걸어서 국민 속으로’의 대장정은 멈추지 않고 행진해 나갈 것”이라고 전했다.

    이번 대선의 결과로 인해 각 정당의 내·외부적 개편은 불가피해 보인다. 불과 1년여 앞으로 다가온 내년 지방선거를 위해 당은 물론 자기 지역구를 챙기기 위한 움직임이 본격화 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