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안성호 충북대 교수 ⓒ안성호 교수
    ▲ 안성호 충북대 교수 ⓒ안성호 교수


    국회는 2일 밤 총선을 불과 42일 남겨 놓은 상태에서 지역구 253개 비례대표 47석으로 하는 선거구 획정안을 담은 공직선거법 개정안을 통과시켰다.
    여야 합의로 지역구를 7개 늘리기로 했지만, 인구 편차를 2015년 12월 31일까지 2대1로 줄이라는 헌법재판소의 결정에 따라 전국적으로는 분구되는 지역 16개, 통합되는 지역은 9개로 결정되었다.
    앞서 박영수 선거구획정위원장은 국회의 법 개정이 지연되면서 법률이 아닌 정치권이 합의한 획정기준을 적용할 수밖에 없었고, 그나마도 충분한 논의 시간을 보장받지 못했다고 말하면서 정당성과 안정성을 갖춘 선거구획정을 위해서는 반드시 획정기준의 조기 확정과 획정위원회의 진정한 독립이 전제되어야 한다는 사실을 절감해야 했다고 말했다.

    선거구획정결과 가장 획기적인 것은 대한민국 ‘중원(中原)’이 4·13 총선의 최대 승부처로 떠올랐다는 점이다. 여야의 전통적 강세 지역인 영‧호남 의석이 2석씩 줄어든 반면 수도권은 10석, 충청권이 2석 늘어났기 때문이다. 지역구 253석 중 149석이 중원지역인 것이다.

    지난 23일 여야합의에 따라 서울과 경기도·인천은 모두 122석이 되었다. 전체 253석 중 48.2%에 이른다. 영남(65석)과 호남(28석)을 합한 93석(36.8%)보다 29석이나 많다.
    전국적으로 보면 증가한 광역단체는 서울+1(49), 인천+1(13), 경기+8(60), 충남+1(11), 대전+1(7)이고, 반대로 감소되는 광역지역은 전북-1(10), 전남-1(10), 경북-2(13), 강원-1(8)이고 현행의석을 그대로 유지하는 광역단체는 충북(8), 세종(1), 대구(12), 울산(6), 부산(18), 경남(16), 광주(8), 제주(3)다.

    결국 4·13총선은 수도권·충청권에서 늘어난 지역구 12개가 총선 승부처가 되었다는 점에서 놀라운 변화인 것이다.
    충청권은 대전·충남 선거구가 한 석씩 늘어 27석(10.7%)이 되어 28석(11.1%)인 호남에 버금가고 대구·경북(25석·9.9%)에는 추월한 결과이다.

    이번 총선은 기존 지역구의 의석을 지키느냐보다는 신설된 선거구를 얼마나 공략하느냐에서 여야의 승부가 날 것이란 분석이 여기 저기서 나온다. 이것은 총선결과 뿐 아니라 내년에 있을 19대 대통령선거에도 많은 영향을 주기 때문에 정치권에서 관심이 집중되고 있는 지역이다.

    충북지역은 8명의 의석을 그대로 유지하여 그동안 청주시지역이 4석에서 3석으로 감소하여 7석으로 줄 것 같다는 지역민들의 불안을 완전 해소했다. 
    보은‧옥천‧영동지역도 인근지역과의 통합으로 1석을 그대로 유지하게 되었다.

    호남만 해진 충청권은 19대 총선(25석) 때 새누리당이 12석, 선진당 3석, 민주당이 10석을 차지했다. 현재 충북지역은 새누리당 5석 더불어 민주가 3석인데 각종 여론조사결과를 바탕으로 새누리쪽에서는 6대2나 8대0도 가능하지 않느냐는 선거여론전도 전개하고 있다.

    특히 이번 선거구획정결과로 볼 때 수도권은 112석에서 122석으로 충청권은 25석에서 27석으로 늘었다. 반대로 영남은 67석에서 65석으로 호남은 30석에서 28석으로 감소하여 실질적으로 충청권과 호남권은 의석수에서 무려 5석이나 차이가 났으나 격차가 1석으로 줄어 바야흐로 ‘충청권대망론’에 불을 지폈다고 할 수 있다.
    이번 충청권 의석수의 증가는 여러 의미에서 충청권 정치력의 승리라고 할 것이다. 우선 역대 대통령선거에서  충청권이 영호남사이에서 눈치나 보거나 들러리 서는 것으로 자족해야 했는데 이제는 정국을 주도적으로 이끌어갈 수 있는 힘이 생겼다는 것이다.

    영남도 대통령을 배출하고 호남도 대통령을 배출했으나 1948년 건국이후 충청권은 단 한명의 대통령도 배출하지 못한 정치적으로는 푸대접 지역이었다. 그러나 이번 선거구 조정에서 선방함으로 향후 19대 대권은 충청권의 순서라고 할 만큼 정치력에서 호재를 잡은 것이라 볼 것이다.  영호남의 패권경쟁에서 킹메이커나 중간역할을 넘어 스스로 대권을 검어지는 기회가 왔다고 할 것이다. 오히려 영남이니 호남이 충청의 대권을 위해 킹메이커로서 손을 내미는 상황을 연출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둘째는 충청권의 목소리가 그 만큼 국정에 더 많이 반영된다는 의미이다. 대표성이 커졌고 충청권의 민심이 국정에 많이 반영되는 결과를 만든 것이다.
     
    셋째, 예산에 있어서도 대폭 증가될 것이다. 국책사업, 지역현안사업 등에서 홀대받던 것이 이제는 당당한 목소리로 더 요구하고 중앙정부가 함부로 무시 못 하는 정도로 힘이 커진 것이다. 흔히 쪽지예산, 스마트폰 ‘문자메시지예산’을 많이 받아가는 호남과 영남에 비해 항상 충청권은 중앙정부와 연결고리가 작아 지역 현안 예산을 타오는데 애를 먹었으나 이제는 중앙정부가 무시 못 할 만큼 정치력이 커졌기 때문에 충청권의 국가사업이나 지역사업에서 예산배분이 증가되고 자연스럽게 충청권 도민의 삶의 질도 높아지게 된 것이다.

    이러한 상황은 그만큼 지역 의원들의 열정적인 선거구획정에서의 선거구증가를 위한 노력에 기인한 것이다. 특히 정우택의원의 경우는 호남에 비해 충청권이 인구수가 훨씬 많은 데도 불구하고 의석수가 적은 것에 대한 대표성과 의석 불균형, 인구편차와 지역 간의 불균형시정을 위해 헌법소원까지 내었고 그 결과 충청권은 2석의 의석수를 늘리고 호남과의 5석 격차를 1석으로 줄이는 쾌거를 얻어낸 것이다.
     
    내년에 있을 19대 대통령 선거에서 반드시 영남과 호남권을 아우르고 국가의 균형발전을 위하여 충청권출신의 인사가 대선에서 승리하는 정치발전을 이뤄야하는 과제를 안고 있는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앞으로 남은 과제는 4·13총선에서도 남남갈등을 극복하고 국민통합을 위하여 충청권이 앞장서야하며 충청권대망론에 부응하는 투표결과가 나와야 한다는 점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이번 20대 총선에서도 훌륭한 인물을 배출하고 전국적으로도 상위의 득표율을 보여주는 충청권도민의 적극적인 투표와 함께 전국을 주도하는 도민의 선거혁명이 절대적으로 요망된다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