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해 업체 61개로 늘어…충북도, 지원책 마련 ‘부심’
  • ▲ 충북도청 본관.ⓒ박근주 기자
    ▲ 충북도청 본관.ⓒ박근주 기자

    중국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CV)인  ‘우한 폐렴’에 충북지역 기업들의 피해가 확산하고 있다.

    11일 충북도에 따르면 우한 폐렴으로 지 현재까지 확인된 도내 직접적인 피해 업체는 모두 61개사에 이른다.

    이들 피해 기업은 여행업 36개사, 자동차 부품 제조 4개사, 화장품‧뷰티 6개사, 바이오‧제약‧의료기기 2개사, 전기‧전자 1개사, 기계‧뿌리산업 6개사, 농업‧식품‧유통 업종 6개사다.

    이들 피해업체 가운데 여행업계는 지난 달 31일부터 충북관광협회를 통해 확인된 것으로 중국 정기노선 중단에 따른 피해가 가장 컸던 것으로 분석됐다.

    충북도에 따르면 우한 폐렴 중국내 사망자가 900명이 넘고, 확진자만 4만 명을 돌파하자 해외여행 심리가 크게 위축돼 여행 계약을 해약하는 사태가 급증하고 있다.

    충북도관계자는 “업계에선 평일에는 해외여행 취소객들로 업무가 마비될 정도라는 하소연이 있다”고 전했다.

    현재 중국 우한시를 포함한 후베이성 전역의 여행경보는 3단계(철수권고, 여행예정자 여행최소, 연기)이며, 이외 중국 전역은 여행경보 2단계(여행자제)로 중국지역 취소 수수료 면제(2월 말까지)를 해주고 있다.

    위약금 없이 계약해지가 가능하지만, 그 외 지역인 동남아 국가는 아직 여행 자제 지역으로 선정되지 않아 표준약관에 따라 위약금이 부과돼 여행사와 고객 간 갈등도 빚어지고 있다.

    여행사에서는 표준약관에 따라 고객들에게 위약금을 청구하고 있지만, 고객들은 “중국은 면제인데 동남아는 왜 위약금을 청구하냐”며 항의를 하고 있다.

    여행사 입장에서는 항공 및 현지 숙박 계약금 등으로 인해 위약금을 받을 수밖에 없는 실정이라고 하소연하고 있다.

    여행업계 관계자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사태가 지난 사스, 메르스 사태처럼 올 상반기까지 유지가 된다면 여행업계 전반이 경영악화를 면치 못할 것으로 우려하고 있다.

    이와 관련 충북도는 상황종료 시까지 피해신고센터를 통해 피해현황을 지속적으로 파악하고, 피해사항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산업별 기업 간담회, 피해신고센터 처리 담당제 등을 검토하고 있다.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지역식당 이용 동참도 권유하기로 했다.

    충북도는 매주 금요일에는 구내식당을 운영하지 않고 외부 음식점을 이용하도록 했다.

    충북도는 이러한 방침을 도내 각 시군과 혁신도시 내 입주 11개 공공기관에도 동참해 줄 것을 독려하기로 했다.

    여기에 피해 중소기업을 위한 특별자금 50억 원을 긴급 지원하고 수출‧중소기업의 지원 확대를 위해 예비비(5개 사업, 5억5000만원)를 편성해 기업이 원하는 수출 바우처와 무역보험 지원을 확대하기로 했다.

    해외 전략시장의 진출을 위한 무역전시회, 무역사절단, 해외 판촉전을 강화하고 농식품 해외마케팅도 지속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우한 폐렴이 장기화 될수록 앞으로 어떤 분야 어느 기업이 피해를 입을지 알 수 없어 지역 사회의 우려가 커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