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국이 정부의 사드배치와 관련된 경제 보복성 조치로 국내산 화장품 19개 제품을 불합격 처분한 가운데 충북내 기업의 제품은 포함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도는 이와 관련해 13일 도내 화장품협회와 학계, 유관기관 관계자들이 참석하는 ‘국내외 정치·경제 상황 대응 TF팀 회의’를 열고 지역 최고의 유망 수출품인 화장품 관련 대책을 강구하기로 했다.
12일 도에 따르면 중국이 불허한 국내 화장품은 19개 제품, 11톤 가량이며 서울에 본사를 둔 이아소사의 영양팩, 로션 등 13개 품목이 등록증명서 미비로, 역시 서울에 본사가 있는 ㈜애경의 목욕세정제 등 2제품은 화학성분 미표기로, 기타 4개 제품은 신고제품과 실품이 상이하다는 이유로 불허됐다.
불허된 이유만으로 보면 사드배치 영향은 전혀 없는 것으로 나타나지만 최근 중국이 관영 매체를 통해 사드배치에 대한 불만을 노골적으로 표출하고 있어 전혀 무관하다고 볼 수 만은 없는 상황이다.
구체적으로 중국은 지난해 말 화장품 위생기준을 대폭 강화했다.
종전에는 화장품 완제품에 대한 시험성적서만 제출했으나 강화된 기준에는 완제품과 원료성분, 소재부문까지 각각의 시험성적서를 제출해야 한다.
또한 미생물 균체수를 국내 기준인 500 CFU/㎖ 이상으로 강화하고 국내에서 미검출하는 곰팡이 및 효모균 총수도 100 CFU/㎖ 이하로 강화했다.
유해물질 함유량도 납은 40(㎎/㎏)에서 20으로, 비소는 10에서 2로 강화하고 카드뮴과 디옥산은 각각 5와 30이하로, 석면은 검출금지로 신설했다.
이 같은 안전기술규범 강화조치는 국내 기준량보다 훨씬 강화된 내용이어서 앞으로 화장품 수출시 통관절차가 더 복잡해지고 허가 받는 시간이 지연돼 결과적으로 재정적 부담이 가중될 것으로 보인다.
도가 긴급하게 ‘대응 TF팀 회의’를 마련한 것도 충북의 효자 수출품인 화장품업계의 수출 타격을 우려한 대응책을 마련하기 위함이다.
그동안 도의 화장품 산업은 2011년부터 그야말로 눈부시게 성장해 왔다.
2011년 73개에 불과하던 도내 화장품 기업은 2015년 118개로 증가하며 전국의 6%를 차지하고 있다. 대표적으로 LG생활건강을 비롯해 사임당화장품, 한불화장품, 뷰티화장품, 코스메카코리아 등 우수 기업들이 큰 성장세를 나타내고 있다.
화장품 생산량도 2011년 1조4000억원대에서 2015년 3조2802억원으로 급성장해 전국대비 30.6%의 점유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화장품 수출량은 2011년 2992억원대에서 2015년 8074억원으로 증가해 전국대비 26.7%를 기록했다. 이는 최근 5년간 약 270%의 성장률을 나타낼 정도로 충북의 효자 수출품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도는 바이오와 화장품을 6대성장 산업으로 지정해 충북 경제의 축으로 육성하고 있으며 해마다 화장품뷰티산업엑스포를 개최하며 지역의 화장품 산업 발전에 공을 들이고 있다.
도 관계자는 “아직까지 중국의 직접적인 제재에 포함되지는 않았지만 장기적으로 안정적인 수출 확대 방안을 논의하기 위해 긴급 TF 회의를 준비한 것”이라며 “좋은 대응책을 마련해 지역의 화장품 산업이 활성화 될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