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장우 “온통대전 지난 정부 표심 얻기 위한 선심성”국회 행안위, 20일 대전시 국감…李“유지는 부정적”
  • ▲ 이장우 대전시장이 20일 대전시청에서 열린 국정감사에서 증인선서를 하고 있다.ⓒ이길표 기자
    ▲ 이장우 대전시장이 20일 대전시청에서 열린 국정감사에서 증인선서를 하고 있다.ⓒ이길표 기자
    20일 대전시청에서 열린 국회 행정안전위원회의 대전시 국정감사에서 ‘온통대전’이 도마 위에 올랐다.

    김웅 의원(서울 송파갑)은 이날 대전시에 대한 국정감사에서 온통 대전의 과다한 할인율과 업종별, 지역별 온통 대전의 쏠림현상을 지적했다.

    김 의원은 “온통 대전도 초기에 15% 할인해주면서 상당히 많은 금액이 발행됐는데 적잖은 문제점이 있다. 소비현황에서 일반음식점, 슈퍼, 의료기관, 학원, 주유소 등에서 소비되고 구도심 상인들에게는 어느 정도 지출 효과를 내고 있는지 의문이다. 온통 대전은 필라테스, 병원 등에 주로 쓰는데 지역별 소비현황은 서구, 유성구가 압도적으로 높지만 원도심은 매우 낫다”며 지역화폐 발행으로 인한 문제점을 지적했다.

    그러면서 “온통대전 15%는 대전시가 떠안게 되고 국세와 혈세가 낭비되는 것”이라며 “온통대전 71%가 캐시백 효과 때문에 이용한다고 한다. 그러나 작년 6월에 63만 명이 이용했다가 3개월 만에 11만 명이 감소한 52만 명이 이용했다. 언제까지 대전시가 이를 또 앉아야 하느냐”고 반문했다.  

    답변에 나선 이장우 시장은 “지역 화폐는 지난 정부에서 표심을 얻기 위해 선심성으로 시작된 소비지원금이라고 생각한다. 온통대전은 올해만 1800억 원이 시비가 1200억 원 등 애초 2400억 원 정도를 쓸 것으로 봤다. 그런데 지난 선거를 앞두고 5월에 10%에서 15%로 늘려서 대거 집행해 7월에 돈이 고갈됐다”고 지적했다.

    이어 “이는 선심성이었다. 선거를 앞두고 돈을 쓰면 돈을 나눠주는 구조다. 시민 혈세를 이렇게 나눠줘서는 안 된다. 시민혈세는 보육, 교육 등 꼭 필요한 시설들에 사용하고 도시의 경쟁력을 강화하는데 쓰는 게 맞다”고 덧붙였다.

    이 시장은 “지역 화폐가 중산층 이상은 많이 쓰고, 50만 원까지 충전해야 해서 서민들은 충전은 못 한다. 은통화폐를 안 쓰면 혜택도 없다. 구도심이나 소상공인 많은 구도심 상인들에게는 사용하지 않고 학원이나, 병원에 쓰기 때문에 상당히 바람직하지 않게 설계가 돼 있다”고 분석했다. 

    마지막으로 “중앙정부가 내년도 예산 상황을 보면서 폐지할 것인지, 소상공인에게 직접 지원을 할 것인지 봐야 하지만, 유지하는 것은 부정적”이라고 분명히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