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궁광산(용궁일라이트)·한울광산(메덱스) 현장방문…일라이트 연구 관련 제안
  • ▲ 연세대 지구시스템과학부 김진욱 교수와 공주대 지질환경과학과 김현나 교수가 이끄는 대학원생과 연구원 등 일행이 28일 점토광물의 광물학적 특성 규명을 위해 충북 영동의 일라이트 광산 답사에 나섰다.ⓒ영동군
    ▲ 연세대 지구시스템과학부 김진욱 교수와 공주대 지질환경과학과 김현나 교수가 이끄는 대학원생과 연구원 등 일행이 28일 점토광물의 광물학적 특성 규명을 위해 충북 영동의 일라이트 광산 답사에 나섰다.ⓒ영동군
    ‘대한민국 천년자원’ 충북 영동 일라이트의 가치와 효능이 재조명받고 있다.

    연세대 지구시스템과학부 김진욱 교수와 공주대 지질환경과학과 김현나 교수가 이끄는 대학원생과 연구원 등 5명이 점토광물의 광물학적 특성 규명을 위해 28일 충북 영동군을 찾았다.

    이날 교수진과 연구원 등 연구팀 일행은 관내 용궁광산(용궁일라이트), 한울광산(메덱스)을 방문해 연구를 위한 일라이트 원석을 직접 채취하고, 채굴현장을 직접 확인했다.

    이어 분쇄과정도 꼼꼼히 살펴보는 등 생산과 채굴과정을 면밀히 살폈다.

    이들은 영동 일라이트가 가진 잠재력과 가치를 확인하며 관련 산업발전에 힘을 보태기로 했다.

    현장 탐방에 참여한 한 연구원은 “문헌상으로만 알고 있었던 사실을 직접 눈으로 확인할 수 있어 매우 유익했다. 오늘 채취한 일라이트 원석으로 일라이트 특성 규명을 위한 연구에 더욱 정진하겠다”며 소감을 밝혔다.

    연세대 김진욱 교수와 공주대 김현나 교수는 “일라이트에 대한 기초연구가 탄탄해야 사업화가 더욱 활발하게 이뤄질 것”이라며 “앞으로 영동 일라이트의 광물학적 특성을 규명하기 위한 다양한 연구를 수행하고 싶다”고 말했다.

    임동영 경제과 일라이트팀장은 “앞으로 일라이트의 다양한 연구를 수행해 일라이트의 우수성을 널리 알리고 영동군의 미래 100년 먹거리로 개발되도록 최선을 다 하겠다”고 강조했다.

    한편, 일라이트는 중금속 흡착, 항균효과, 유해물질 탈취 등 다양한 효능이 있는 광물로 영동군에 세계최대 규모인 5억t 정도가 매장돼 있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천연 화장품, 수처리제, 가축보조사료, 친환경 건축자재 등 각종 산업분야에 공급하며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성장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