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시, 17일 주민참여예산 ‘100억 확정’1541건 제안…5000여 시민 온라인 투표 참여
  • ▲ 17일 대전컨벤션센터에서 열린 시민총회에서 2020년 주민참여예산시민제안 공모사업 100억원을 최종 확정했다. 허태정 대전시장이 이날 시민총회에 참석해 시민들과 파이팅을 외치고 있다. ⓒ대전시
    ▲ 17일 대전컨벤션센터에서 열린 시민총회에서 2020년 주민참여예산시민제안 공모사업 100억원을 최종 확정했다. 허태정 대전시장이 이날 시민총회에 참석해 시민들과 파이팅을 외치고 있다. ⓒ대전시
    대전시는 17일 대전컨벤션센터에서 개최한 시민총회에서 ‘아동 폭력방지를 위한 안전한 골목길 만들기‧찾아가는 청년 정책 학교’ 등 2020년 주민참여예산 시민제안 공모사업 100억 원을 최종 확정했다고 밝혔다.

    시에 따르면 올해 주민참여예산 사업비가 100억원으로 확대된 것은 시민들의 적극적인 관심과 참여로 확정됐다는데 큰 의미가 있다.

    시는 이번 주민참여예산 선정 과정에서 대전시민들은 예년의 10배에 달하는 1541건을 제안했으며, 5000명이 넘는 시민들이 주민참여예산 확정을 위해 온라인 시민투표에 참여했다.

    이는‘시민에게 예산을 결정하는 문을 수평으로 열어 집단 지성의 힘으로 공동의 이익을 위한 민주적 공동체를 실현한 것’이어서 남다른 의미가 크다.

    시는 이번 주민참여예산 확정과정에서 주목할 만 한 점은 2015년 시작한 주민참여예산이 주로 건설, 교통, 환경 분야(76%)였던 반면 올해는 청년, 청소년, 공동체, 문화 등 여러 분야의 제안과 선정으로 시민들이 대전시에 바라는 분야가 다양화 됐다는 점이다.

    올해 처음 시도한 시민총회는 시 주민참여예산위원과 시민투표단의 현장 투표 방식으로 사업을 최종 선정하였는데 제안자들이 직접 사업을 설명하여 투표단의 이해를 도왔다.

    특히 중학생이 제안 설명자로 나와 “청소년도 사회의 한 일원으로 인정할 필요가 있다”며 “‘청소년 정책 참여 활성화를 위한 의견수렴 창구’를 개설해 달라”는 의견을 제시해 주목을 받기도 했다.

    시민총회 일환으로 주민참여예산 발전방향에 대한 허태정 시장에게 즉답을 묻는 시민공청회도 열렸으며, 시민들은 주민참여 예산에 소외되는 계층·분야가 없나 유심히 살펴보고 내년도 주민참여 예산에 꼭 반영해 달라는 의견을 피력했다.

    이날 시민총회는 △시정참여형 48건(75억1000만 원) △지역참여형 51건 (20억 원) △동지역회의 지원사업 36건(4억 원) 등 모두 100억 원이 최종 확정됐다.

    선정된 사업은 대전시 주민참여예산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으며, 2020년 사업이 시작되면 매분기별로 사업 추진현황을 홈페이지를 통해 확인이 가능하다.
  • ▲ 허태정 시장이 17일 대전컨벤센센터에서 열린 시민총회에 참석, 인사말을 하고 있다.ⓒ대전시
    ▲ 허태정 시장이 17일 대전컨벤센센터에서 열린 시민총회에 참석, 인사말을 하고 있다.ⓒ대전시
    허태정 대전시장은 “주민참여예산의 제안부터 최종 선정까지 시민 여러분이 적극적으로 참여해 주셔서 진심으로 감사드린다”며 “앞으로 시민의 의사결정 기회와 권한을 더 강화해 시민이 주도적으로 운영하는 주민참여예산제를 완성할 것”이라고 말했다.

    다음은 이날 확정된 ‘2020 주민참여예산’ 최종 선정 목록이다.

    △아동 폭력방지를 위한 안전한 골목길 만들기(2억원) △폭염 저감 시설 설치 사업(1억2400만원) △골목 재활용 분리수거대 설치 정책(1억원) △골목길‘매설식 자동 승하강 소화전’설치 사업(2억원) △영유아 놀이 체험실 신규 설치(3억원) △교통안전시설로 사고예방(4000만원) △CPR(심폐소생술) 간접 교육 확대(1억원) △반려견 펫티켓 지도 및 홍보(4000만원) △선사유적지 돌담길 야간 경관 조명 설치(1억6000만원) △어르신들의 무단횡단 방지책(5300만원) △찾아가는 보육양육 부모교육 및 평가인증 의무제 등 보육교직원 전문성 교육(3억원) △대청호에 스토리를 입혀보면 어떨까요 (1억 5000만원) △청년 마음상담 창구 확대 운영(3억원) △현수막 지정 게시대 및 전단지 부착대 확대(2억원) △청춘터전 지원 사업(중구‧서구, 3억원) △청년공간 프로그램 운영지원(청춘 나들목, 3억원) △도로 노면 정리 (3억원) △작은 도서관 문화의 중심이 되다(5000만원) △펫티켓, 동물보호 교육(2000만원) △굶는 사람! 대전에는 ZERO(500만원) △청소년 진로 체험(2억원) △장애인 평생 교육기관 운영(2억원) △두계천 습지복원 생태습지공원 조성(3억원) △청년공간 프로그램 운영 지원 확대(두두두‧너너들이, 3억원) △가수원동-정림동 오작교(2억원) △찾아가는 청년 정책 학교(5000만원) △청소년 정책토론 프로그램 운영 및 조례 제정(1500만원 △시각장애인 정보화교육(3500만원) △한밭수목원 내 쿨링포그 설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