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영환 충북지사, 의대 정원 동결에 깊은 유감“지역 현실 외면한 결정…정부, 의료 불균형 해소 우선해야”
-
- ▲ 충북대 의과대학.ⓒ뉴데일리
정부가 2026학년도 의대 정원을 2024학년도와 동일한 3058명으로 유지하기로 발표한 가운데, 김영환 충북도지사는 17일 “충북을 또다시 의료서비스의 불모지로 내모는 결정”이라며 강한 유감을 표명했다.김 지사는 이날 발표한 입장문을 통해 “의대 교육의 정상화를 위해 정부와 대학이 절박한 심정으로 숙고 끝에 내린 결정임을 잘 알고 있다”면서도 “도민의 생명과 건강을 책임지는 도지사로서 이번 정원 조정에 대해 깊은 유감을 표하지 않을 수 없다”고 밝혔다.충북은 치료 가능 사망자 수가 전국에서 가장 많고, 인구 1천 명당 의사 수는 전국에서 네 번째로 적은 상황이다. 김 지사는 “의대 정원 300명은 도민의 생명과 건강을 지키기 위한 최소한의 기준이었다”고 강조했다.이어 “충북은 증원 비율 면에서 전국에서 가장 높았고(규모로는 전국 세 번째), 도민들은 지난 1년간 의정 갈등으로 인한 불편과 피해를 ‘비정상의 정상화’를 위한 불가피한 과정으로 인내해 왔다”며 “그럼에도 지역의 현실과 절박한 여건이 반영되지 않은 채 의대 정원이 일괄 동결된 것은 매우 안타깝다”고 비판했다.김 지사는 “수도권을 제외하더라도 충북은 인구 규모가 유사한 강원(267명), 광주(250명), 전북(235명), 대전(199명)과 비교해도 의대 정원에서 현저히 뒤처진다”며 형평성 문제를 제기했다.충북도는 이번 입장문에서 정부에 △지역 단위 수급 추계를 위한 ‘의료인력 수급추계위원회’의 합리적 기준 마련과 지방 의료 불균형 해소 △지역 의대 및 의료기관에 대한 교육공간 확충 및 임상실습 여건 개선 △지역필수의사제 시범사업 확대 및 인센티브 강화 등 종합 대책 마련을 요청했다.김 지사는 끝으로 “충북도는 도민의 건강권을 지키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며 “정부와 긴밀히 협력하고, 지역 의료 인력 확충을 위한 다양한 대책을 지속적으로 추진해 나가겠다”고 말했다.한편 충북은 2025학년도 의대 정원이 총 128명 늘어나 전국 세 번째 규모의 증원을 기록했다. 충북대학교는 기존 93명에서 79명이 늘어 172명으로 확대됐고, 국립대 중 최대 증원이다.건국대 글로컬캠퍼스는 폐과됐던 의대가 신설되며 49명의 정원을 새로 배정받은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