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주 3.1 규모 지진 발생…충북 전역 긴급 점검 지시윤 교육감 “충주지진 더 이상 안전지대는 없다”“법·제도보다 사람 중심”… ‘제도적 유연성’ 강조
  • ▲ 윤건영 충북도교육감.ⓒ충북도교육청
    ▲ 윤건영 충북도교육감.ⓒ충북도교육청
    윤건영 충북도교육감은 7일 새벽, 충북 충주에서 규모 3.1의 지진이 발생과 관련해 “더 이상 충북이 지진으로부터 안전한 곳이 아니다”고 강조하며, 모든 교육기관에 긴급점검과 선제 대응을 지시했다.

    윤 교육감은 이날 오전 주간정책회의에서 “학생들과 교직원이 안전한지, 혹여 피해를 입은 곳은 없는지 가장 걱정되는 상황”이라며 “다행히 현재까지 큰 피해는 없지만, 여진 가능성이 있는 만큼 모든 부서가 상황을 면밀히 파악하고 신속하게 대응하라”고 당부했다.

    이어 관련 부서에 매뉴얼에 따라 즉각 전담반을 구성해 각급 학교와 교육지원청의 피해 현황을 확인하고, 시설 점검을 요청할 것을 지시했다. 

    윤 교육감은 “학교와 교육기관은 건물 내부와 외부를 꼼꼼히 점검하고, 위험징후가 발견되면 즉시 접근을 통제하라. 학생과 교직원의 대피 조치도 신속히 시행하라”고 말했다.

    특히 산사태 위험이 있는 지역과 노후화된 건물에 대한 즉각적인 예찰과 조치도 주문했다. 그는 “여진 가능성을 고려해 모든 교육 시설의 안전을 다시 점검하고, 대비책을 철저히 마련하라”고 했다.

    이미 개학한 학교나 방학 중 교육 활동이 진행 중인 학교에 대해서는 학생들의 등하교 안전을 최우선으로 확보할 것을 당부했다. 

    윤 교육감은 “여진 발생 시 대처 방안을 재점검하고, 학생들에게 지진 발생 행동요령을 숙지하도록 학교상황에 맞게 안내해 달라”고 전했다.

    “법과 제도보다 중요한 건 사람”… 제도적 유연성 강조

    이날 회의에서 윤 교육감은 단순한 지진대응뿐만 아니라 교육 현장의 운영 원칙에 대해서도 목소리를 높였다. 

    그는 “학교는 구성원 모두가 존중받고, 각자의 역할을 다할 수 있도록 돕는 공간이어야 한다”며 “법과 규칙을 준수하는 것은 기본이지만, 그 과정에서 사람 중심, 인간 중심의 가치가 충분히 고려되지 않으면 제도의 본래 목적이 퇴색될 수 있다”고 말했다.

    최근 교육 현장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갈등 사례를 언급하며 “융통성 없는 법과 제도의 적용은 오히려 문제를 악화시킬 수 있다. 사람 중심의 도덕과 상식에 기반한 ‘제도적 유연성’을 발휘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그는 “공무원으로서 공공의 책임과 원칙을 지키는 것은 기본 전제지만, 그 안에서 개인의 자율성과 사적 영역이 보장될 수 있도록 균형을 맞춰야 한다”며 “현장의 목소리를 충분히 듣고 실질적이고 유연한 대책 마련에 힘써달라”고 주문했다.

    윤 교육감은 충북의 모든 학교를 하나의 학교로 여기고 있으며, 시간이 날 때마다 비공식적으로 현장을 찾고 있다고 밝혔다. 그는 “갈등 및 문제 해결 시 보편적인 기준이 중요하지만, 특수한 상황에 대한 고려도 필요하다. 법과 제도, 인권이 서로 조화를 이루는 방향으로 문제를 지혜롭게 해결해 달라”고 덧붙였다.

    한편 충주 지진은 7일 오전 2시 35분 34초, 충주시 북서쪽 22km 지역(위도 37.14 N, 경도 127.76 E)에서 규모 3.1의 지진이 발생했다. 

    이번 지진은 최대 진도는 충북 지역에서 ‘Ⅴ’로 측정됐으며, 현재까지 두 차례의 여진이 이어졌다. 첫 번째 여진은 2시 54분 38초에 규모 1.4로 발생했으며, 두 번째 여진은 3시 49분 38초에 규모 1.5로 기록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