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기영 부지사 “건양대 모든 학과·교원 국방산업 중심체계 개편 지역혁신 도모”“충남 수도권 제외 전국 2번째 대학 많아… 글로컬대 3개 대학은 지정돼야”
  • ▲ 김기영 충남도 행정부지사가 28일 오후 도청 프레스센터에서 건양대 글로컬대학 선정과 관련해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사진 왼쪽은 백성현 논산시장, 오른쪽은 김용하 건양대 총장.ⓒ충남도
    ▲ 김기영 충남도 행정부지사가 28일 오후 도청 프레스센터에서 건양대 글로컬대학 선정과 관련해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사진 왼쪽은 백성현 논산시장, 오른쪽은 김용하 건양대 총장.ⓒ충남도
    건양대가 교육부 ‘글로컬대학30’ 공모사업에 최종 선정돼 국비 1000억원을 확보했다.  

    그러나 순천향대는 지난해에 이어 2년 연속 예비지정 대학으로 명단에 올렸으나 본 지정에서 탈락했다. 

    김기영 행정부지사는 28일 도청 프레스센터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지난해 아쉬움이 컸던 만큼 올해는 대책회의 등 사전준비를 더욱 철저히 해 온 결과 건양대가 글로컬대학으로 최종 선정됐다”고 밝혔다.

    이어 “올해부터 5년간 사업이 추진되는 만큼 신속하게 지‧산‧학‧연 협의체를 구성해 글로컬대학 운영을 지원하겠다”며 “협의체를 통해 대학과 지역의 상생발전을 도모하고, 나아가 도내 전체 대학의 혁신을 유도해 대학도 살고 지역도 사는 선순환 체계를 안착시킬 것이다. 내년부터 본격 시행되는 라이브(RISE)사업과도 연계해 타 대학에 성과를 적극 확산 시키겠다”고 강조했다.

    글로컬대학은 대학 내외부 벽을 허물고, 지역·산업계 등 파트너십을 기반으로 대학-지역 동반 성장을 이끌 대학을 집중 지원·육성해 지역 혁신 생태계를 구축하는 사업이다.  

    대상은 비수도권 일반재정지원대학 또는 국립대학이며, 교육부는 지난해 10개, 올해 10개 대학에 이어 내년까지 30개 내외 대학을 지정할 계획이다.

    건양대는 논산 국방국가산단 구축계획과 연계해 모든 학과와 교원을 국방산업 중심 체계로 개편하는 교육혁신을 통해 케이(K)-국방산업 융복합 인재양성 및 국방 산학연 생태계를 구축함으로써 지역혁신을 도모한다. 

    사업이 완료되면 국방산단을 중심으로 지역산업 수요맞춤형 및 국방미래기술 인재를 양성해 국가와 지역산업 발전에 이바지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도는 글로컬대학 지정을 위해 그동안 △의견수렴 △내부 컨설팅위원회 구성 및 자체 컨설팅 △지산학연 전담팀 구성 △대면평가 현장 참석 등 적극 대응해 왔으며, 올해 초부터 글로컬대학 지정을 위한 대책회의를 시작으로, 전체 대학 간담회를 열어 의견을 수렴하는 등 사전 준비를 철저히 했다.

    이 과정에서 대학의 혁신기획을 충남의 산업방향과 연계하기 위해 내부 컨설팅위원회의 자체 컨설팅을 통해 도정 연계성을 높인 도는 예비지정 이후 김기영 행정부지사를 단장으로 하는 글로컬대학 지산학연 전담팀(TF)을 운영해 실현 가능성 있는 실행계획서 작성에 역량을 모았다. 

    마지막 본지정 대면심사는 행정부지사와 산업경제실장이 참석해 지자체의 지원의지를 적극 피력하기도 했다.

    김 부지사는 “충남은 수도권을 제외하면 대학이 전국에서 2번째로 많은 지역으로, 3개 대학 이상이 글로컬대학으로 지정돼야 한다”며 “앞으로 추가 지정될 수 있도록 끝까지 지원을 아끼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백성현 논산시장은 “논산은 소멸지역으로 교육기관이 필요하다. 건양대와 상생할 수 있는 길을 모색해왔다. 앞으로 건양대에 매년 10억원씩 5년간 지원하겠다”며 건양대 글로컬대학 선정을 축하했다.

    이어 “앞으로 건양대에 연구용역을 하고 그다음에 재교육, 맞춤형 교육 등이 함께 이뤄질 것”이라고 덧붙였다.

    김용하 건양대 총장은 “충청권역 중 건양대가 글로컬대학으로 유일하게 선정됐다. ‘글로컬30’이라는 정부의 취지에 맞춰서 우리 계획에 담은 것들을 차질 없이 진행해 우리 지역의 대학을 리더하는 대학이 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약속했다.

    한편 순천향대는 지난해에 이어 2년 연속 예비지정대학으로 명단에 올렸지만 본 지정에서 탈락하자 충격에 빠졌다. 

    순천향대는 지역산업 연계형 소전공 교육과 학생 진로 특화 4개 유니버시티 체계 구축 등 교육 혁신을 핵심 골자로 정하고 본 지정에 적극 대응해왔으나 결국 탈락했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