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 지사, 27일 천안시청출입기자와 간담회서 밝혀“백석동 쓰레기매립장 증설 천안·아산갈등 중재 빠른 시일내 끝낼 것”“순천향대 천안병원 소아과 의사 사직…재정 문제라면 적극 지원”“제3탄약창 규제 완화문제, 탄약창 옮기지 않더라도 부분 축소 논의”
  • ▲ 김태흠 충남도지사가 27일 오전 천안시청에서 기자간담회를 통해 천안시 현안과 관련해 입장을 밝히고 있다. 오른쪽은 박상돈 천인사장.ⓒ충남도
    ▲ 김태흠 충남도지사가 27일 오전 천안시청에서 기자간담회를 통해 천안시 현안과 관련해 입장을 밝히고 있다. 오른쪽은 박상돈 천인사장.ⓒ충남도
    김태흠 충남도지사는 27일 오전 천안시청에서 가진 기자간담회에서 “세월이 유수와 같다는 말이 있다. 벌써 4년 계약직인데 2년이 다 지나가고 있다”며 서두를 꺼냈다. 

    김 지사는 “올해 총선이 있어서 좀 늦게 시군 방문을 시작하게 됐고 앞으로 남은 기간에도 최선을 다하겠다”고 약속하고 천안시 현안 문제와 관련해서는 긍정적인 지원 입장을 밝혔다.

    그는 기자들과의 간담회에서 “천안역사 건축비용이 크게 늘어난 것과 관련해 자재비는 원래 계획보다 많이 올라갔기 때문에 제가 도에서 예산지원을 하겠다고 약속했고, 2~3년 사이에 많이 올랐기 때문에 그런 부분을 감안해 지원을 해서 기간 내에 끝낼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이어 충남컨벤션센터 건립과 관련해 “2027년까지 건립이 끝낼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며 “크게 걱정을 안 해도 된다”고 기자의 질문에 답변했다.

    특히 천안시와 아산시가 백석동 쓰레기 소각장 증설문제와 관련해 갈등에 대해 “천안시와 아산시가 쓰레기 소각장 증설문제를 두고 갈등이 있다면 상급기관으로서 중재하고 합의점을 찾을 수 있도록 욕을 먹더라도 빠른 시일 내 끝내도록 적극 나서겠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지금 천안하고 아산이 싸울 일이 아니다. 천안과 아산은 생활권이 하나고 하나의 도시라고 생각한다. 장기적으로 천안과 아산시는 통합시로 가야 하고 역시 천안 FC와 충남 아산 FC도 장기적으로 통합해야 한다”고 부연했다.
  • ▲ 김태흠 충남도지사가 27일 오전 천안시청에서 기자간담회를 갖고 있다.ⓒ충남도
    ▲ 김태흠 충남도지사가 27일 오전 천안시청에서 기자간담회를 갖고 있다.ⓒ충남도
    김 지사는 천안의료원 적자와 관련해 “코로나 19 이후에 천안‧홍성‧ 서산‧공주의료원 등 4개 의료원이 281억원의 적자가 났다. 그런데 국가에서 100억원을 주겠다고 하는데 100억원을 그냥 주는 것이 아니라 지방비 50억원을 빼면 50억원을 주는 것”이라며 “180억원을 지방 정부에서 해결해야 하는데 정부와 강하게 협의를 해서 내년 예산을 확보하는 방향으로 진행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천안의료원의 적자와 관련해서는 경영적인 문제가 있을 수 있고, 근본적인 문제는 환자들의 접근성이 떨어지고 또 하나는 천안에 두 개의 종합병원이 있기 때문에 1차 진료 기관과 그 틈새에서의 진료과목을 점검할 필요가 있다”는 김 지사는 “천안의료원을 소아병원‧산부인과, 공주는 노인질환 거점병원으로 키우겠다”고 제시했다.

    또한, 의료원 임금체불과 관련해서도 해결한 사실을 공개했다. 그는 “지난 11일 외국 방문 하루 전 퇴근 시간 지날 무렵 임금체불이 예상되고 4개 의료원의 노조가 기자회견을 한다고 해서 임금을 체불해서는 안 돼 일단 차입을 해서 6월 월급을 해결했다”고 강조했다.

    이어 천안시와 아산시의 통합과 관련해 “장기적으로 가야 한다. 천안과 아산은 충남을 견인할 수 있는 수부도시로서 경계가 거의 무너져가면서 발전하고 있다. 이런 부분들이 자연스럽게 이뤄지면서 앞으로 통합논의가 불이 붙지 않겠느냐는 생각이 든다”고 덧붙였다. 

    천안 순천향병원 소아전문응급의료센터가 의사의 사직과 관련해 아동병원 운영을 지속하기 위해 정부의 지원에 대해 “지금 필수 의료 의사가 부족한 부분은 순천향대학과 협의하고 금전적인 문제라면 충남도에서 적극적으로 지원하겠다”며 소아과 의사 구인난 해법을 제시했다. 

    김 지사는 천안 성환 제3 탄약창과 관련한 규제에 대해 “협의는 하고 있지만, 국방부가 안보문제로 적극적으로 나서지 않아 풀리지 않는다. 탄약창이 옮기지 않더라도 규제 부분을 축소하는 부분 등을 논의하고 있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