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청 제안·권고안’ 일부 구조물은 ‘이전·보존’NGO “이범석 시장 역사의 죄인 될 것인가” 발끈민주당 “적어도 시의회에 사전 소통했어야” 항의
-
충북 옛 청주시청 본관동이 문화재 관련 존치 논란 속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질 처지에 놓였다.청주시는 7일 상당구 북문로에 위치한 옛 청사 본관동의 석면을 제거한 데 이어 건물 철거공사에 들어갔다.이범석 시장은 이날 기자간담회에서 “이제는 소모적 논쟁을 멈추고 86만 청주시민의 숙원사업인 청주시청사 건립이 원활히 진행될 수 있도록 시민들의 협조를 바란다”며 “그동안 반대해 온 시민사회단체도 문화재청 협의 결과를 존중해달라”고 설명했다.본관동은 1965년 연면적 2001.9㎡ 규모의 3층 철근콘크리트 구조로 건립된 뒤 1983년 4층으로 637.2㎡ 증축됐다.일본 와세다대학 부속공업학교 건축과를 졸업한 고 강명구 건축사가 설계했다.민선 7기 한범덕 전 시장(더불어민주당)이 충북참여자치시민연대의 존치 주장에 따라 민·관 거버넌스에서 존치 결정했으나 민선 8기 이범석 시장(국민의힘)이 자신의 공약대로 ‘본관철거’ 결정했다.△일본 건축양식 모방 △문화재청 직권등록 언급에 따른 불공정 합의 도출 △증축·구조 변경에 따른 원형 훼손 △정밀안전진단 D등급 △콘크리트 탄산화 E등급 △내진설계 미반영 등이 철거 이유다.특히 청주시의 이 같은 방침에 따라 더불어민주당 시의원들은 국민의힘과 극심한 갈등을 겪었다.시의회 의석수를 양분하고 있던 민주당은 지난해 말 본관 철거예산 통과 저지에 나섰지만 당내 1표의 반란표가 나오면서 무산됐다.시는 17억4200만 원을 들여 다음 달 말까지 본관동을 철거하고, 본관동 1층 로비·와플슬라브 구조(기둥·보)와 연결되는 파사드는 3층까지 해체해 보존키로 했다.지난 1월 청주시가 문화재청, 각계 전문가들로 구성한 ‘청주시청사 구 본관동 논의 협의체’가 제안·권고한 방안이다.해체된 구조물은 추후 설계 공모 시 건축가와 상의해 이전 보존키로 했다. 3D 디지털 데이터 구축과 함께 제원·연혁·사진 등을 담은 백서 발간도 병행할 예정이다.시는 본관 철거 후 곡선 위주의 민선 7기 설계안을 폐기하고, 행안부 타당성 재조사와 설계 재공모를 거쳐 옛 청사와 청주병원 일대에 박스 형태의 신청사를 2028년까지 건립할 계획이다.착공은 2025년 8월로 예정보다 10개월 늦춰졌고, 2028년 11월 준공 목표다. 총 사업비는 약 3200억 원으로 추산된다.한편 진보성향 시민단체는 본관동 철거공사 착수에 즉각 반발하고 나섰다.충북시민단체연대회의는 이날 본관동 앞 회견에서 “이범석 시장은 청주시 최초의 청사를 왜색으로 몰아간 것도 모자라 역사의 죄인으로 남을 것이냐. 본관 철거 입장을 철회하고 보존에 나서라”고 강조했다.이어 “문화재청도 문화재위원회 분과위원장단의 (보존)입장문 발표 후 미온적 태도로 임하고 있다”며 “문화재청이 계속해 약속한 본관 보존을 못한다면 더 이상의 존재 이유가 없다”고 성토했다.그러면서 “시청 직원들을 위한 3400억 원의 청사 비용은 고물가, 고유가, 고금리 시대에 맞지 않는 시대착오적인 금액으로 (사업의)원점 재검토가 필요하다. 제2 임시시청사인 첨단문화산업단지를 고치는 것에 대한 검토가 절실하다”고 요청했다.이 단체는 공사현장에서 나가달라는 시청 공무원들과 말다툼을 벌이며 협의체의 제안서 공개를 요구하기도 했다.민주당 시의원들도 문화재청과의 합의는 존중한다면서도 사전 보고 없이 철거공사 진행에 대해 거칠게 항의했다.민주당 측은 “문화재청과의 합의를 존중하지 않는 것이 아니라 기습 철거에 대한 반발”이라며 “적어도 의회에 사전 소통을 했어야 하는 것 아니냐”고 집행부에 문제를 제기했다.민주당 청주시의원들은 지난해 말 본관 철거예산 통과 후 의사일정 보이콧과 의장 불신임안 발의, 상임위원장단 일괄 사퇴 등 반발을 이어오다 지난달 23일 의회 복귀를 결정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