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주 지진 여진 2차례 이어져… “충주 20건·소방당국 16건 유감 신고”행안부, 충주 지진 대응 비상 1단계 가동…전국 시설물 긴급 점검 지시산림청, 충북 지진 대비 산사태 위험 지역 ‘긴급 점검’충북도, 지진·대설·한파 긴급 점검회의…“도민 안전 최우선”
-
- ▲ 7일 새벽 2시 35분쯤 충북 충주에서 규모 3.1 규모의 지진이 발생했다. 진앙은 충주시 앙성면 영죽리, 진원 깊이는 9㎞로 분석됐다. 이번 지진은 강원도와 경기도에서까지 진동을 느꼈다는 신고와 제보가 쇄도했다. 그러나 다행히 현재까지 시설물이나 인명 피해는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 이번 지진은 올해 국내에서 발생한 지진 7건 중 가장 강했고, 충북에서는 관측 이래 5번째 강한 규모다.ⓒKBS 뉴스 캡처
7일 오전 2시 35분 34초, 충북 충주시 북서쪽 22km 지역(위도 37.14 N, 경도 127.76 E)에서 규모 3.1의 지진이 발생과 관련해 정부와 충북도, 충주시가 피해조사 및 대응에 총력에 나섰다.정부와 충북도에 따르면 이날 충주에서 최대 진도는 충북 지역에서 ‘Ⅴ’로 측정됐으며, 현재까지 두 차례의 여진이 이어졌다. 첫 번째 여진은 2시 54분 38초에 규모 1.4로 발생했으며, 두 번째 여진은 3시 49분 38초에 규모 1.5로 기록됐다.이번 지진으로 인해 충주시에서 20건, 소방당국에 16건의 유감 신고가 접수됐으나, 7시 기준으로 구체적인 피해 상황은 집계 중이다.‘진도 Ⅴ’는 거의 모든 사람이 진동을 느끼며, 그릇이나 창문 등이 깨질 수 있고 불안정한 물체가 넘어질 수 있는 수준이다.충북도는 지진 발생 직후 즉각적인 대응에 나섰다. 2시 35분에 지진 조기경보를 발령하고, 2시 50분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가 비상 1단계에 돌입했다. 이어 3시에는 충북도 재난안전대책본부도 비상 1단계로 운영을 시작했으며, 3시 30분에는 중앙-도-충주시 간 긴급 영상회의가 열렸다. 4시 10분에는 현장상황지원관(안전정책팀장)이 현장에 파견돼 응급복구 및 대피시설 점검을 진행 중이다.김영환 충북도지사는 7시 30분 도청 재난종합상황실에서 지진, 대설, 한파 대응 긴급 점검회의를 열고 철저한 피해조사와 신속한 대응을 지시했다.김 지사는 “도민안정 및 안전이 최우선이므로 지진 발생에 따른 여진 및 대설피해가 없도록 관련 부서 및 관계기관에서는 대응에 총력을 다할 것”이라며 “향후 여진 발생을 대비해 신속한 대응체계를 지속해서 유지하고 피해 발생 시 응급복구 시행, 피해조사 완료 후 사유시설 재난지원금 지급 검토 등 지진 대응에 철저를 기하라”고 강조했다.현재 충북도는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통해 상황을 관리하고 있으며, 지진 대피 장소와 임시 거주 시설의 긴급점검을 진행 중이다. 추가 피해 발생 시 지진 피해시설물 위험도 평가단과 의료신속대응반을 가동할 계획이다.행안부‧산림청도 충주에서 지진이 발생하자 지진 피해 대응체계를 강화했다.먼저 행정안전부는 충북 충주 지진 발생 직후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비상 1단계를 가동하고, 전국 지자체에 지진 발생 시 국민행동요령 준수 및 시설물 안전 점검을 지시했다.특히 지진으로 인한 2차 피해 예방을 위해 노후 건축물 및 다중이용시설에 대한 긴급 안전 점검을 추진 중이다. 아울러, 여진 발생 가능성에 대비한 대피소 운영 현황과 응급복구 장비 확보 상황을 점검하고 있다.산림청도 지진으로 인한 산사태 및 임도 붕괴 가능성에 대비해 비상 대응체계를 강화했다.산림청은 지진 발생지역 인근 산림 지역에 대한 안전 점검을 하고, 필요한 시 산림재해대응본부를 가동할 방침이다. 특히 대설과 지진이 겹치는 상황을 고려해 산림 인프라 피해 방지와 응급복구 계획을 철저히 마련할 것을 강조했다.행안부 관계자는 “국민 안전을 위해 여진과 2차 피해에 대비한 철저한 관리가 필요하다”며 “피해 발생 시 신속한 복구와 지원을 위해 전 부처가 협력 체계를 유지할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