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민들 “허가는 규석채취 명분으로 수십년간 골재 채취”“A개발산업, 추가 7만평 추가 증설 추진…환경파괴 불 보듯”업체 “용곡리 등 3개 마을 80% 동의…집중호우시 현장 구조상 빗물 저수지 유입”
  • ▲ 충북 청주시 상당구 미원면 규석광산 채취 현장의 모습.ⓒ뉴데일리
    ▲ 충북 청주시 상당구 미원면 규석광산 채취 현장의 모습.ⓒ뉴데일리
    충북 청주시 상당구 미원면 주민들이 최근 A 개발산업(미원면 용곡리)의 대규모 광산 추가 증설에 반대하며 광산(규석)허가와 관련해 업체와 갈등을 빚고 있다.

    3일 미원면 주민들과 청주시 등에 따르면 “A 개발산업은 업체의 이름을 바꿔가며 2008년 8월부터 약 3만평(990.9㎡) 규모의 산림을 훼손하고 규석광산이란 이름으로 골재 채취를 해왔다”고 주장했다.

    주민들은 “최근 A 개발산업은 19만9453㎡ 확장하는 등 총 29만9117㎡를 추가 증설하기 위해 사업계획서를 대전 금강유역환경청 등에 제출하고 환경영향평가 등을 추진하고 있다. 이 업체는 말로만 규석광산이지 실제 골재 채취를 위한 추가 확장‧허가”라며 증설 반대이유를 설명했다.

    이어 “A 개발산업이 추가 증설을 추진하는 곳은 백두대간의 주요 지류인 한남금북정맥 중 가장 양호한 산림지역으로, 생태자원이 상 2등급으로 분류될 만큼 자연환경보전관리 지역”이라며 “그런데도 환경파괴를 해가며 골재 재취를 해왔다. 또 다시 7만평의 면적을 증설하겠다는 것은 산림 훼손과 능선까지 파헤쳐 동물들의 이동통로를 막아 생태축을 잘라 버리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주민들은 “그동안 A 개발산업은 골재 채취로 인한 생태계 파괴는 물론 토사 유출로 용곡저수지 오염과 담수 능력 저하를 걱정하며 참아왔다. 이미 허가된 지역의 골재 채취가 완료되면 사업이 종료될 것이라 믿었다. 그런데 이런 믿음과는 달리 업체 측의 7만평 규모를 증설하겠다는 것은 지역주민들의 생존은 아랑곳하지 않고 돈만 벌면 된다는 식”이라고 비판했다.

    인근 한 주민은 “A 개발산업에서 발생하는 환경오염피해는 분진 등 환경오염원과 집중호우 시 광산 침전지의 물이 넘쳐 도로와 용곡저수지에 유입돼 녹조의 원인이 되고 있다”고 밝혔다.
  • ▲ 충북 청주시 미원면 주민들이 A 산업개발 규석광산 추가 증설을 반대하는 글씨를 곤포 사일리지에 써 놓았다.ⓒ뉴데일리
    ▲ 충북 청주시 미원면 주민들이 A 산업개발 규석광산 추가 증설을 반대하는 글씨를 곤포 사일리지에 써 놓았다.ⓒ뉴데일리
    이 주민은 “주민들이 A 개발산업의 2022년 환경영향평가 등과 관련한 주민설명회를 무산시킨 데 이어 올해 1월과 5월 두 차례 주민설명회와 공청회를 추진했는데 생태계 파괴를 막고 환경오염을 보호하기 위해 주민들이 설명회를 몸으로 막아냈다”고 전했다.

    또 다른 관계자는 “A 개발산업이 추가 인허가를 받으면 석산개발 중 화약 폭파과정에서 용곡저수지의 균열이 발생할 수 있다. 업체가 추가 허가 양과 허가 기간이 길 경우 우리 후손 때까지 산을 파헤치고 규석광산이라는 이름으로 토석을 채취할 것”이라고 우려했다.   

    이와 관련해 충북도 관계자는 “A 산업개발은 애초 9만9664㎡에서 19만9453㎡ 추가로 확장하는 등 총면적 29만9117㎡에 대한 환경영향평가를 받고 있다”면서 “면적이 상당히 크고 초안 과정을 마치고 본안협의 과정을 앞두고 있다”고 했다.

    A 산업개발 관계자는 “규석광산허가는 1986년 냈으며, 현재 추가 인·허가를 위해 환경영형평가를 마치고 인허가 절차를 진행 중이고 추가 허가와 관련해 용곡리 마을 등 3개마을 주민들로부터 80% 동의를 받았고 동의하지 않는 사람은 10% 밖에 안 된다. 모든 광산은 골재 채취가 동반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광산 현장에는 침전지 2개와 입구에 1개 등 3곳이 있으며, 세륜시설의 물은 자연 증발하고 있고, 대기 환경 문제는 6개월에 1회 환경업체를 통해 오염물질을 분석, 상당구청에 제출하고 있지만, 한 번도 기준치를 초과하지 않았다”며 “침전지 오니 등은 정기적으로 폐기물을 처리하고 있다. 다만, 집중호우시 갑자기 불어난 많은 빗물은 지대가 높아 규석광산 아래에 있는 용곡저수지로 유입될 수밖에 없는 구조”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