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네 모양·사람 척추 형태…‘별자리 28수’ 고려 28칸 건립정원같이 아름다운 보탑사·한국종박물관도 인기 코스
  • ▲ 천년의 세월을 견뎌낸 충북 진천군 문백면 구곡리 농다리. 고려초에 만들어진 국내 최고 긴 돌다리로 위에서 내려다보면 마치 지네모양 또는 사람의 척추뼈 형태를 하고 있다.ⓒ뉴데일리 D/B
    ▲ 천년의 세월을 견뎌낸 충북 진천군 문백면 구곡리 농다리. 고려초에 만들어진 국내 최고 긴 돌다리로 위에서 내려다보면 마치 지네모양 또는 사람의 척추뼈 형태를 하고 있다.ⓒ뉴데일리 D/B
    충북 진천하면 가장 먼저 떠오른 것은 ‘생거진천(生居鎭川)’이란 말과 함께 ‘진천쌀’을 으뜸으로 꼽는다. 

    그만큼 진천은 우리 인간들이 살기에 가장 좋은 곳이고, 벼농사를 짓기에도 가장 적합한 기름진 땅이라는 말이다. 옛날부터 진천은 물이 많고, 평야가 넓고, 토지가 비옥하고, 풍수해가 없어 농사가 잘되는 고장으로 유명하다. 

    최근 진천은 농공병진 지역으로 쌀농사 못지않게 공장이 많이 들어섰다. 진천읍 덕산읍과 음성군 맹동면 일원에는 충북혁신도시(689만9000㎡)가 들어서면서 법무연수원, 한국소비자원, 한국가스안전공사 등의 정부와 준정부기관이 들어서고, 아파트가 입주하면서 인구가 많이 증가했다. 

    진천하면 가장 많은 사람이 찾는 곳은 역시 충북 진천군 문백면 구곡리 구산동 ‘진천 농다리’다. 

    다리는 사람과 사람, 마을과 마을, 이웃과 이웃이 삶을 엮어갈 수 있도록 해주는 고마운 시설물로, 농다리는 과거나 지금에도 역시 사람이 편리하게 이동할 수 있는 가교역할을 하고 있다. 

    생거진천은 고려 초에 만들어진 국내 최고 긴 돌다리인 ‘농다리(충북 유형문화재 제28호)’가 전 세계적으로 가장 멋진 결정판이자 자연의 이치를 최적화해 설계된 다리 중의 최고의 설치물이다.

    농다리 축조기술은 자연을 거스르지 않고 자연과 더불어 인간의 삶을 풍요롭게 만드는 독특한 구조라는 점에 우리 조상들의 지혜의 결정판이다. 

    농다리는 위에서 내려다보면 마치 지네 모양을 하고 있는데, 사람의 척추뼈 형태와 같기도 하다. 농다리는 그것도 별자리 28수를 고려해 농다리를 28칸으로 만들었다.

    진천 세금천에 축조된 농다리는 사력 암질의 돌을 마치 물고기 비늘처럼 안으로 차곡차곡 들여 쌓아 교각을 만들었는데, 크기가 다른 돌을 적절히 배합해 서로 물리게 28칸을 쌓았고 위로 갈수록 폭이 좁아져 빠른 유속을 견딜 수 있도록 했다. 우리 조상들의 과학적인 지혜와 현장 경험을 접목한 것이 천년의 세월을 머금게 한 것이다.

    농다리는 93m·폭 3.6m·교각 1.2m이고 교각과 교각 사이는 0.8m이다. 교각 위에 170㎝, 넓이 80㎝, 두께 20㎝의 장대석 1개 또는 길이 130㎝, 넓이 60㎝, 두께 16㎝의 장대석 2개를 나란히 얹어 만들었는데, 마치 대나무 바구니를 엮은 것처럼 견고하다.

    농다리는 장마에도 유실되지 않고 천년을 견뎌왔다는 점에서 토목공학적인 측면으로 귀중한 자료가 되고 있다. 농다리는 이런 역사적인 가치와 아름답게 축조돼 ‘한국의 아름다운 100선’ 중 17번째로 선정됐다.

    사실 진천은 산수가 수려한 곳은 아니지만, 다른 곳에 비해 산자 수려한 곳과는 거리가 있어 멋진 자연풍광을 볼 수 없을 것이라는 생각을 하게 되는데, 농다리와 초평호 저수지에 들어서면 의외라는 반응이 나온다.
  • ▲ 진천 초롱길과 초평호.ⓒ뉴데일리 D/B
    ▲ 진천 초롱길과 초평호.ⓒ뉴데일리 D/B
    초롱길의 탐방객들은 천년을 견뎌온 우리 조상들의 농다리를 만든 지혜에 한번 놀라고 초평호의 아름다운 호수와 산을 보고 또 한 번 놀라기 때문이다.

    초롱길은 농다리 건너편에서 시작해 산 쪽으로는 농암정까지 이어지고 언덕길 너머로는 초평호를 끼고 수변 탐방로가 이어진다. 초롱길은 초평호의 아름다운 풍광을 조망하며 수변데크 길 1.7㎞는 구두를 신고 걸을 수 있을 정도로 길이 잘 조성돼 있다.

    거리가 멀지 않는 산책 코스지만 중간에 샛길로 빠져 등산이 가능하도록 여러 갈래 길이 나온다. 걷다가 성에 차지 않으면 좀 더 고난도 길을 걸으면 된다.

    농다리에서 초평호수길로 곧장 가다 고개를 넘자마자 우측에 마을을 수호하는 서낭신을 모셔놓은 돌탑 위에 신당인 서낭당이 있다. 서낭당은 과거 마을 어귀에 많이 있었으나 요즘에는 보기 드물다. 어릴 때 마을 어귀의 서낭당이 왜 그렇게 무서웠던지, 될 수 있는 대로 밤길에 서낭당을 지나기를 꺼렸던 생각이 되살아났다.

    이어 데크길을 한참 걷다 보면 쉼터가 나오는데 만화로 보는 ‘생거진천 이야기’가 눈에 들어온다. ‘생거진천’, ‘사가용인’에 관한 설화가 재미있게 8편이 마련돼 있다.

    이어 초평저수지 위에 세워진 하늘다리~진천군 청소년수련원을 거쳐 다시 오던 길로 되돌아오거나 하늘다리 건너기 전 좌측으로 올라가면 농다리와 중부고속도로가 한눈에 들어온다.

    하늘다리에서 초평호를 계속 가면 붕어찜으로 유명한 붕어마을이 나오고 한반도 지형 전망공원에 올라 전국에서 가장 한반도 지형에 근접한다는 지도 모양을 조망할 수 있다.

    초평호 한반도 지형은 두타산 삼형제봉에서 초평호를 굽어보면 위로는 중국이, 아래로는 한반도 지형과 제주도의 형상과 일본 열도가 있는 것처럼 한눈에 볼 수 있어 많은 사람이 이곳을 찾는다.
  • ▲ 진천 초평호 생거진천 하늘교.ⓒ뉴데일리 D/B
    ▲ 진천 초평호 생거진천 하늘교.ⓒ뉴데일리 D/B
    초롱길은 진천 농다리~하늘다리~청소년수련원~초평호전망테크~붕어마을~한반도지형전망공원까지 2.5㎞로 1시간 20분이 소요된다.

    관광지가 많지 않은 진천은 보탑사도 즐겨 찾는 단골 코스다. 

    보탑사(진천군 진천읍 김유신길)는 대한불교 조계종의 사찰로 고려 시대에 건립됐다. 보탑사는 52m 높이(108척)의 3층 목탑이 대표적인 건축물이다. 보탑사 경내는 3층 목탑과 잘 어우러진 정원이 눈길을 끈다.

    보탑사 3층 목탑은 황룡사 9층 목탑을 모델로 삼아 우리나라 전통 방식에 따라 못을 하나도 박지 않고 강원도에서 벌채한 소나무를 사용해 쌓아 올렸다는 점이다. 어찌 보면 사찰이라기보다는 고택에 가까울 정도로 친근한 이미지가 느껴진다.

    목탑은 1층 대웅전으로 사방불을 모시고 있고, 2층에는 법보전으로 팔만대장경 번역본을 담아놓은 윤장대와 한글 법화경을 새겨 놓은 화강석이, 3층에는 미륵전으로 미륵 삼존불이 자리하고 있다. 

    특히 목탑에는 많은 사람이 들어갈 수 있도록 창건됐고, 이곳에서 탑돌이를 하면서 기도할 수 있다. 

    봄부터 늦은 가을까지 보탑사에는 연꽃과 진달래 등 각종 꽃이 아름답게 경내를 채워 나간다. 무엇보다도 보탑사는 속세에서 찌든 사람들이 경내를  걷고 산책하는 것 만으로도 휴식처가 된다. 

    또한, 진천에는 한국 종(‘Korean Bell’)의 예술적 가치와 우수성을 알리기 위해 2005년에 개관한 진천종박물관(진천군 진천읍 백곡로 1504-12)이 자리 잡고 있다. 한국 종은 ‘코리안 벨(Korean Bell’)이라는 학명이 있을 정도로 세계에서 인정받는 독창적인 양식과 예술성을 자랑한다. 

    상설전시실에는 통일신라, 고려, 조선, 근대에 이르기까지 한국 범종의 유물을 전시해 한국 종의 역사화 문화, 제작과정을 한눈에 볼 수 있다. 진천종박물관은 국가무형문화재 제112호 주철장의 전통 주조기술을 전승하고 한국 종의 제작과정을 교육하고 있다.

    한국 종만이 가진 과학적인 요소들로 인해 신비한 소리를 내는 데, 한국 종의 소리는 ‘영혼을 깨우는 소리, 세상을 밝히는 울림’이라는 찬사까지 받고 있다.

    이밖에 진천 도당산에는 삼국통일을 완수한 흥무대왕 김유신의 영정을 봉안한 사당인 길상사도 즐겨 찾는 곳이다.
  • ▲ 눈으로 뒤덮인 진천 보탑사. 보탑사는 52m의 3층 목탑으로 건립된 대표적인 건축물이다.ⓒ진천군
    ▲ 눈으로 뒤덮인 진천 보탑사. 보탑사는 52m의 3층 목탑으로 건립된 대표적인 건축물이다.ⓒ진천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