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B/C(비용-편익분석) 0.78·AHP 0.724 산출
  • ▲ 충북 청주시 청원구 오창읍 후기리 ‘다목적 방사광가속기 구축사업’ 부지인 오창TP산업단지 기공식이 지난해 7월 31일 현지에서 열렸다.이시종 시장과 한범덕 청주시장 등 내빈들이 시삽을 하고 있다.ⓒ충북도
    ▲ 충북 청주시 청원구 오창읍 후기리 ‘다목적 방사광가속기 구축사업’ 부지인 오창TP산업단지 기공식이 지난해 7월 31일 현지에서 열렸다.이시종 시장과 한범덕 청주시장 등 내빈들이 시삽을 하고 있다.ⓒ충북도
    충북도는 ‘청주 오창 다목적 방사광가속기 구축사업’의 기재부 예비타당성 조사가 30일 최종 통과됐다고 밝혔다.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KISTEP)의 예비타당성 조사 결과, 다목적 방사광가속기 구축사업은 B/C(비용-편익분석) 0.78, AHP(계층화분석) 0.724으로 산출됐다.

    사업비는 당초 9980억원에서 474억원(측량조사비, 시설부대비, 예비비 등)이 증액된 1조454억원(국비 8454억원, 지방비 2000억원)으로 결정됐다. 

    청주시 오창읍 후기리 오창테크노폴리스산업단지에 구축되는 다목적 방사광가속기는 산업적 이용 활성화 및 과학기술기초역량 강화를 위한 세계 최고 수준의 방사광가속기 구축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사업기간은 6년(2022~2027년 구축, 2027년 시운전, 2028년 정상운영)이며 빔라인 10기를 시작으로 최대 40기까지 구축된다.

    다목적 방사광가속기는 선진국 어느나라에도 뒤지지 않는 최고급 사양으로 4Gev(40억 전자볼트), 고품질 X-선 광원을 이용한 차별적 기술분석력으로 ‘새로운 세계를 보여주는 꿈의 빛’으로 충북의 미래를 나아가 대한민국 미래 100년의 성장동력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충북연구원은 오창 다목적 방사광가속기 구축사업의 경제적 파급효과로 총 파급효과 4조6196억원으로 전국 생산유발 9조2825억원, 부가가치 유발 2조9310억원, 취업유발 3만8402명으로 나타났으며 충북을 기준으로는 생산유발 5조2845억원, 부가가치 유발 1조7948억원, 취업유발 2만858명으로 분석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올 상반기 중으로 주관기관을 선정, 다목적 방사광가속기사업단을 구성한 후, 바로 실시설계를 착수해 본격적인 사업 수행에 들어간다.

    사업계획 수립 등 주요 정책결정은 과기부에서 컨트롤타워 역할을 수행하고, 사업단에서는 가속기 제작·설치와 건설사업 등 본격적인 구축사업을 전담하며, 충북도와 청주시는 부지조성·제공 및 가속기 활용률 제고를 위한 인프라 구축을 지원한다. 

    오창테크노폴리스 산단 149만㎡ 중 방사광가속기 기본부지 28만㎡를 올해 말까지 우선 조성할 계획으로 굴삭기 및 덤프트럭 40여대를 동원해 3월부터 공사를 진행하고 있다.

    기반시설공사인 4차로 진입도로 공사(3㎞, 국비 349억원), 용수공급시설공사(9.7㎞, 국비 226억원), 도시가스(6.5㎞, 60억원)도 차질없이 속도감 있게 추진하고 있다.  

    방사광가속기가 과학 및 산업기술 전방위에 걸친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산업계의 활용을 높이기 위해 전문인력양성사업, 활용지원센터 구축, 소부장 테스트베드 구축, D.N.A.센터 구축사업 등 관련 기반조성에도 적극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한편 다목적 방사광가속기의 성공적인 구축 및 조기안착, 미래 혁신을 견인하기 위한 ‘충북 다목적 방사광가속기 지원 조례안’이 30일 충북도의회 본회의를 통과됐다. 조례안에는 △전문인력 양성지원 △가속기 연구성과 후속 실용화 지원 △정주여건 조성 등 행·재정적 지원 근거가 포함돼 구축사업이 탄력을 받게 될 것으로 보인다.

    김진형 방사광가속기추진지원단장은 “다목적 방사광가속기 구축은 국내외 과학산업에 괄목할 만한 혁신성장을 가져올 것”이라며 “충청권을 위한 지역 균형발전이 아닌 국가 전체의 균형발전을 추구해 충북 오창을 세계적인 가속기 클러스터로 조성할 것”이라고 기대감을 나타냈다. 

    AHP(계층화분석)은 경제성, 정책성, 지역균형발전, 기술성 등 B/C를 포함한 타당성의 종합평가를 뜻하며, 통상 연구개발사업의 경우 AHP가 0.5 이상이면 사업시행이 타당한 것으로 평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