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년간 기업 70여 업체 대전 떠나
  • ▲ 김경태 기자.ⓒ뉴데일리 충청본부 DB
    ▲ 김경태 기자.ⓒ뉴데일리 충청본부 DB
    최근 대전시가 ‘혁신도시 지정’이라는 화려함에 취해 자축하는 분위기지만, 정작 대전의 미래가 제대로 담겨 있는지 의구심이 들 정도다. 

    이같은 의구심은 대전시가 최근 150만 시민들의 염원으로 혁신도시로 지정됐지만, 지난 10년간 대전 향토기업 70여 개 업체가 대전을 등졌다. 업친 데 덮친격으로 국내 중소·벤처기업과 소상공인 지원정책을 총괄하는 중소벤처기업부 이전이 확정됐다.

    특히 대전 중견 향토기업들은 떠났고, 공공기관들이 떠나고 있지만 대전시의 뽀족한 대책은 없다. 떠난 이유는 떠난 기업에 문제가 있다고 하고, 공공기관이 이탈하면 중앙정부의 잘못된 결정이라는 말로 위안을 삼고 있는 대전시의 안일한 행태가 더 큰 문제라고 본다. 더더욱 중기부 이전이 충분히 예상됐는데도 정보력 부재에다 사전에 주저앉힐 만한 대책조차 갖지 못했다가 박영선 장관의 탈 대전 선언을 하고서야 허둥지둥 나선 모양새다.  

    대전시가 이런 사실을 모를리야 없겠지만, 향토기업과 공공기관이 떠나면 인구와 세수가 감소되고, 도시경쟁력 약화로 이어진다는 단순한 사실은 불문가지라고 할 수 있다. 

    실제로 지난달 20일 허태정 대전시장은 “ 중기부 세종 이전은 국가균형발전이라는 대의에 맞지 않는다. 대전시민들의 신뢰를 저버리는 행위”이라고 중기부를 비난했다. 이어 “중기부 이전을 막아낼 수 있도록 대전시장으로서 총력을 기울이겠다. 정치권과 적극 협조하겠다. 시민들에게 도움을 요청하겠다” 등 지역사회의 전방위적인 협력을 강조했다. 

    하지만 23일 중기부는 ‘중기부, 행안부에 세종 이전 의향서 제출’이라는 보도 참고자료를 배포 한 장으로 세종 이전을 공식 선언했다. 하지만 대전시는 반박 한마디 없이 무대응으로 일관하고 있다.

    향토기업이 탈대전의 이유는 산업용지 등 기업 인프라 부족이 가장 크고, 영업 등 수요처 개발, 부동산 가치 고려, 타 시·도의 유치 인센티브 등을 내세우고 있다.

    세종으로 이전한 A기업은 “지난 수년간 설비 확충 등을 위해 대전시에 산업용지 공급을 요청했지만 계속 늦어지면서 타 시·도로의 이전을 검토하게 됐다”며 “세종은 대전과 비슷한 수준의 도시 인프라가 구축됐으며, 산업용지 공급 가격은 훨씬 저렴하며, 향후 지가 상승도 기대되는 장점 등이 이전의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고 이전 배경을 설명했다.

    다른 기업 관계자도 “수도권을 제외한 모든 시·도는 일정 규모 매출이나 성장 가능성이 있다면 파격적인 인센티브를 제공하고 있다. 기업 입장에서는 거부할 수 없는 제안이었다”고 강조했다.

    또 다른 B업체는 “대전만이 가질 수 있는 도시경쟁력이 없다. 기업이 굳이 대전에 고수하는 것보다는 새로운 기회의 문을 두드린 것이 낫겠다고 판단했으며 탈대전이 잘된 결정이라는 생각이 든다”고까지 했다.

    그렇다. 대전은 혁신도시 지정으로 전국 기존 혁신도시와의 치열한 공공기관 유치시장에 참가할 자격을 얻었다. 이로 인해 수도권 공공기권이 대전으로 이전이 가능해졌다. 하지만 대전시가 ‘집안 중기부’를 세종에 내줘야 하는 딱한 처지에 놓였다. 대전시와 지역 정치권은 뒷북을 치고 있는 모습이 한심하다 못해 측은하다는 것이 내 생각뿐일까?.